
‘하나’는 원조교제로 겨우 삶을 이어가는 가출 소녀다. 광화문 일대를 점령한 촛불시위는 그 아이에게 아무런 의미도 없다. 저녁마다 지하철역이며 거리를 가득 메운 시위대는 일거리를 찾아 돌아다니는 데 방해가 될 뿐이다.
‘동석’이 다니는 회사는 미국발 금융위기의 직격탄을 맞고 휘청거린다. 극도의 스트레스에 시달리던 동석의 눈에 교복 차림의 하나가 들어온다. 그 아이를 자신의 오피스텔로 끌어들인 동석은 다급하게 섹스를 요구한다. 두 남녀가 돈과 몸을 맞바꾸는 순간에도 오피스텔 밖에선 시위대가 외치는 구호가 요란하다. 하나의 육체를 마구 탐하는 동안에도 동석의 머릿속은 금융위기 걱정으로 타들어간다.

청소년 가출과 원조교제의 심각성을 정면으로 다루지만 그게 소설 핵심은 아니다. 작가는 촛불시위와 금융위기로 얼룩진 2008년 여름의 그 이상하게 들뜬 열기와 기분 나쁜 습기를 반복해 묘사한다. 성중독증 환자처럼 하나와의 섹스에만 집착하는 동석에게서 자본주의 체제 모범생들의 대열에서 탈락한 ‘루저’의 슬픈 자화상을 본다.
김태훈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