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6·2 지방선거, 풀뿌리 민주주의 축제로 일구려면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10-03-07 19:41:26 수정 : 2010-03-07 19:41:26

인쇄 메일 url 공유 - +

여야가 지방선거 체제로 본격 전환할 채비다. 한나라당은 조만간 공천심사위 구성에 이어 공천 신청 공고를 낸다. 민주당을 위시한 야권은 어제 ‘야5당 협상회의’를 갖고 야권 연대의 성패가 걸린 단체장 후보 배분 문제를 논의했다. 출사표를 던진 후보도 한둘이 아니다.

지방선거 열기가 달아오르는 것은 시간문제다. 기대와 우려가 엇갈린다. 여야가 적재적소 원칙에 부합하는 공천권을 행사하고 투명한 선거운동을 선도하면 6·2 지방선거는 정치 선진화를 앞당기는 전국 축제로 자리매김된다. 반면 잡음이 크면 그 후유증과 더불어 사회 일반의 정치 염증과 냉소주의가 더욱 깊어질 것이다.

민심을 반영하는 공천 없이는 유권자 호응을 바라기 어렵다. 여야가 모를 리 없다. 한나라당, 민주당은 앞다퉈 국민공천배심원단, 시민공천배심원제를 표방한 뒤 홍보에도 열심이다. 한나라당 정병국 사무총장은 “깨끗하고 투명한 공천을 해야 국민 불신을 해소할 수 있다”고도 했다.

문제는 포장만 그럴싸하게 해놓고 꿍꿍이속을 챙기는 구습이 되풀이될 공산이 크다는 사실이다. 여야는 벌써부터 당파적 갈등으로 몸살을 앓는 중이다. 공천심사위를 놓고 입씨름이 한창인 한나라당 속사정부터 그렇다. 친이 측은 ‘공정 공천’을 다짐하면서 복안을 밀어붙이고 있지만 지난 총선 공천에서 쓴맛을 본 친박 측이 어찌 받아들일지는 불문가지다. 야권도 복잡하다. 민주당 지분 싸움에 정당 간 이해타산까지 겹쳐 배가 산으로 갈지 바다로 갈지 모를 지경이다. 여야 공히 ‘공천 경쟁’에 밀린 측이 과연 승복할지, 그 여파로 선거 양상이 더욱 혼탁해지지 않을지 의구심이 들지 않을 수 없다.

선진국 길목을 가로막는 퇴행적 정치문화는 상당 부분 잘못된 공천 관행에서 비롯됐다. 이번에는 바로잡아야 한다. 갈 길은 멀리 있지 않다. 여야 실력자가 아니라 지역 유권자가 원하는 후보를 사심 없이 뽑으면 된다. 정파적 이해를 뛰어넘는 대승적 선택으로 꼴사나운 내분을 막고 풀뿌리 민주주의를 꽃피우기 바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