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입학사정관제 너무 빠르다”는 대학들의 비판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10-01-30 09:45:32 수정 : 2010-01-30 09:45:32

인쇄 메일 url 공유 - +

입학사정관제가 너무 빨리 추진된다는 비판이 이 제도를 직접 운영해온 주요 대학들에서 제기됐다. 서울대·연세대·KAIST 등 전국 주요 40개 대학은 지난해 6월 말 교육과학기술부에 ‘2009학년도 대학입학사정관제 지원사업 집행 결과 보고서’를 제출하면서 입학사정관제를 급격히 추진한 결과 사교육비 증가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한 것으로 그제 뒤늦게 밝혀졌다. 학생들의 단편적 지식을 기준으로 삼지 않고, 잠재력 등을 고려해 학생을 선발함으로써 과도한 사교육을 잡겠다는 도입 취지가 퇴색되고 있다는 우려다.

단기적 실적 위주에 급급한 교과부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입학사정관제 선발 인원은 2009학년도에 4555명에서 2011학년도에는 전체 대입 정원의 10% 선인 3만7628명으로 급증하는 추세다. 문제는 사정관의 전문성과 인원이 부족하다는 사실이다.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사정관 전형을 실시한 47개 대학의 전임 사정관 네 명 중 한 명이 입시 전형 한 달 전에 ‘급채용’됐다. 게다가 올해는 사정관 한 사람당 수험생 107명 정도를 맡아야 하니 심층면접은 불가능에 가깝다는 게 대학 측의 설명이다.

실정이 이렇다 보니 수험생들이 입학 전형에 불신을 보이면서 ‘될 대로 되라’는 방임적 태도나 ‘면접만 잘 보면 된다’는 생각으로 면접 컨설팅 학원에 다니는 극단적 입시 준비 유형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 같은 불안은 사교육 ‘풍선효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한국교육개발원 조사에서 학부모 열 명 중 일곱은 자녀가 사정관제 전형을 준비하면 사교육 기관을 활용하겠다고 응답한 게 뒷받침한다. 교과부는 입학사정관제 추진 속도가 필요 이상으로 빨라 그 틈새를 사교육이 파고드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급하다고 바늘허리에 실을 매어 쓸 수는 없는 일이다. 입학사정관제 활성화의 당위에 조급해하지 말고 합리적인 활용 방안 마련에 숙고하길 바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