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적 실적 위주에 급급한 교과부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입학사정관제 선발 인원은 2009학년도에 4555명에서 2011학년도에는 전체 대입 정원의 10% 선인 3만7628명으로 급증하는 추세다. 문제는 사정관의 전문성과 인원이 부족하다는 사실이다.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사정관 전형을 실시한 47개 대학의 전임 사정관 네 명 중 한 명이 입시 전형 한 달 전에 ‘급채용’됐다. 게다가 올해는 사정관 한 사람당 수험생 107명 정도를 맡아야 하니 심층면접은 불가능에 가깝다는 게 대학 측의 설명이다.
실정이 이렇다 보니 수험생들이 입학 전형에 불신을 보이면서 ‘될 대로 되라’는 방임적 태도나 ‘면접만 잘 보면 된다’는 생각으로 면접 컨설팅 학원에 다니는 극단적 입시 준비 유형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 같은 불안은 사교육 ‘풍선효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한국교육개발원 조사에서 학부모 열 명 중 일곱은 자녀가 사정관제 전형을 준비하면 사교육 기관을 활용하겠다고 응답한 게 뒷받침한다. 교과부는 입학사정관제 추진 속도가 필요 이상으로 빨라 그 틈새를 사교육이 파고드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급하다고 바늘허리에 실을 매어 쓸 수는 없는 일이다. 입학사정관제 활성화의 당위에 조급해하지 말고 합리적인 활용 방안 마련에 숙고하길 바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