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경성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사장이 11일 중국 베이징무역관에서 ‘2025 중국지역 무역투자 확대 전략회의(사진)’를 주재하고 “우리 기업이 기회를 잡을 수 있게 코트라가 뛰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사장은 21개 중화(中華)권 무역관장이 참석한 회의에서 “중국은 글로벌 통상환경의 거친 파고를 넘어야 하는 상황”이라며 “변화의 폭이 큰 만큼 파생되는 기회도 많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뒤 통상환경이 급변하면서 강 사장은 중국지역본부 및 무역관장들과 중국 통상 현황 및 공급망 현안 이슈를 점검했다. 중국의 경제규모와 우리나라 경제에 수출 중요성을 고려하면 중국은 매우 중요한 시장이다. 미국과 기술·산업 경쟁이 심화하는 중에도 파생되는 틈새시장을 공략해야 중국에 수출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코트라는 밝혔다.
중국은 상하이 등이 포함된 1선 도시부터 행정을 위해 각 성시를 5개 등급으로 나눠 관리한다.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간편식품 수요 증가, 웰빙 수요 증가에 따른 저염·저당식품 인기 등 성시별로 주력 소비층의 소비 추세가 다르다.
강 사장은 “경쟁우위에 있는 한국 제품의 시장 수요 발굴과 현지 유통망을 활용한 수출시장을 개척하고 흔들림 없는 대중 수출을 위해 중국 21개 무역관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