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최근 한국에서 값비싼 프러포즈가 유행하고 있다며 ‘청혼 허례허식’을 비판했다.
WSJ은 15일(현지시간) 1면 하단에 ‘결혼 전 비싼 장애물:4500달러짜리(약 572만원) 청혼’이라는 제목으로 한국의 청혼 문화를 다뤘다.
WSJ는 “한국에서는 하루 숙박비 100만 원이 넘는 고급 호텔에서 명품 가방과 반지 등을 선물하는 행위가 일반적인 프러포즈 방식으로 자리잡혔다”고 설명하며 직장인 오모씨의 사례를 소개했다.
직장인 여성 오모씨는 하루 숙박비가 150만원이 넘는 초고급 호텔에서 수백만원을 넘는 프러포즈를 받았다.
오씨는 ‘청혼 패키지’를 운영하는 호텔 내부에 꽃과 샴페인, ‘Marry Me’ 문구의 풍선이 장식됐고 명품 브랜드의 로고가 박힌 쇼핑백을 들고 사진을 찍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렸다. 그러면서 그는 “호텔 프러포즈는 모든 여성의 꿈”이라고 밝혔다.

직장인 남성 하모씨는 최근 여자친구에게 호텔 프러포즈를 하는 과정에서 총 570만원이 들었다고 WSJ에 전했다. 하씨는 호텔 내부에 카메라 3대를 설치해 프러포즈 장면을 찍어 SNS에 올렸다고 한다. 그는 “솔직히 금전적으로 부담은 됐지만 여자친구의 친구들이 많이 부러워했다”라고 했다.
WSJ은 인스타그램에 ‘호텔 프러포즈’ 관련 게시물이 4만2000개를 넘어섰으며, 꽃, 풍선, 문구와 함께 명품 쥬얼리나 핸드백이 있는 사진을 자주 발견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부모의 허락을 먼저 받고, 결혼 날짜를 정한 뒤 직접 반지를 구매하고 ‘프러포즈’를 하는 한국 문화로 인해 프러포즈의 독창성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러한 호텔 프러포즈가 유행이 되며 결혼 계획 자체를 늦추는 사례도 등장했다. 최근 여자친구가 ‘샤넬백’과 함께 호텔 프러포즈를 받은 친구의 사진을 보여줬다던 김모씨는 계획했던 프러포즈 일정을 올여름에서 연말로 미뤘다.
이와 함께 WSJ는 “한국 결혼율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면서 “큰 비용이 드는 호화로운 호텔 프러포즈는 결혼율에 도움이 되지 않고 커플들에게는 압력을 가하는 웨딩 트렌드”라고 지적했다.
인구 감소와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는 사람들이 줄어들며 한국의 결혼 건수가 사상 최저로 떨어진 가운데, 호화로운 프러포즈 유행으로 결혼 과정의 금전적 압박이 증가했다고 WSJ는 전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