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사드 배치 철회할 생각 없나”
尹 “북핵 위협 강화땐 추가 배치”
沈 “사드 수도권 방어 효과 불분명”
尹, 文 ‘3불 정책’ 비판… 입장 고수
‘미국과 전술핵 공유’ 安과도 충돌

25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최로 열린 정치 분야 TV토론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는 북한의 안보 위협에 대응하는 방안을 놓고 정면 충돌했다. 이 후보는 한반도 평화 관리를, 윤 후보는 힘을 통한 억지력 확보에 방점을 찍었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추가 배치와 미군의 전술핵 사용, ‘선제타격론’, 미국의 미사일방어체계(MD) 편입, 일본과의 군사협력 등 각론에서도 의견이 갈렸다.
이 후보는 우크라이나 사태를 거론하면서 윤 후보의 ‘선제타격론’을 공격했다. 이 후보는 “선제타격은 전쟁 개시가 아닌가. 전쟁을 너무 쉽게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 우크라이나 사태도 있으니 자제하고 철회할 생각은 없느냐”고 물었다. 윤 후보는 이에 “이 후보는 안보관이 부족하고 잘 모른다”라며 “확실한 억지력을 가져야만 평화가 유지되는 것이고 선제타격 능력을 확보하고 그 의지를 보일 때만 전쟁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약한 태도는 오히려 더 평화를 위협할 수 있다”고 받아쳤다. 이 후보는 “사드 배치, 선제타격 이런 이야기를 하니까 한반도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진다”며 “한국형 사드라는 L-SAM(장거리 지대공 미사일)이 개발됐다. 실전 배치 2∼3년이면 되는데 굳이 고고도 방어를 위해 사드를 (미국에서) 사올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 후보를 향해 “말을 세게 하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실제로 (국방 등) 대비를 잘하면서 관리를 해야지 큰소리 뻥뻥 친다고 되나. 이런 걸 두고 ‘안방 장비’라고 한다”고 꼬집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도 윤 후보의 사드 추가 배치 주장과 관련, “사드의 수도권 방어 효과는 불분명한데 사드 추가 배치로 인한 한·중 파탄은 너무나 명백하다. 동북아의 전략적 균형이 무너질 때 우리가 아시아의 우크라이나처럼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윤 후보는 문재인정부의 ‘3불 정책’(사드 추가 배치 안하고 미국 MD 참여 안하고 한·미·일 동맹 맺지 않는다는 방침)을 조목 조목 비판하며 기존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윤 후보는 “북핵 위협의 강도가 높아지면 사드를 추가 배치 할 수 있다. 일본과 동맹 수준을 안갔지만 굳이 (일본과 동맹을) 안한다고 중국에 약속할 필요는 없지 않나. 절대 안할건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되면 한·미 간에 MD는 필요하지 않겠나 싶다”고 말했다. 심 후보가 “한·미·일 동맹을 맺으면 유사시에 한반도에 일본이 개입하도록 허용하는 건데 그걸 하시겠나”라고 묻자, 윤 후보는 “유사시에 들어올 수도 있지만 꼭 그걸 전제로 하는 건(아니다)”이라고 한발 물러섰다.

북핵 대응을 놓고는 윤 후보와 안 후보도 충돌했다.
윤 후보는 안 후보가 미국과의 전술핵 공유 협정이 필요하다고 말하자 “미국 반덴버그(공군기지)에 있는 전략핵을 폭발력을 축소시켜서 전술핵 규모로 하는 게 시간적으로 더 적게 걸린다”며 미국 본토에 배치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활용해 확장억지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그러자 안 후보는 자신이 주장하는 한·미 전술핵 공유 공약은 전술핵을 국내에 배치하는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식의 핵 공유와 달리 “한반도에는 전술핵을 반입하지 않으면서 외부 오키나와나 괌에 있는 것을 활용할 수 있는 협정”이라고 부연했다.
이날 토론에서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북핵 대응을 위한 핵공유를, 정의당 심 후보는 30만명 규모의 모병제 도입을 제안해 눈길을 끌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