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전남도, 생존 위기에 처한 지방대 살리기 나선다

입력 : 2021-11-19 01:00:00 수정 : 2021-11-18 10:05:41
무안=한승하 기자 hsh62@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사진=전남도 제공

전남 목포해양대 교명이 결국 ‘목포’가 빠진 채 변경 현실화 등 ‘지방대 위기’가 현실화 되고 있다.

 

18일 전남도와 목포해양대학 등에 따르면 올해 전국 지방대학은 미달 사태가 속출했다. 지난 2월 마감한 정시모집 등록에서 전국 162개교에서 2만6129명의 미달이 발생했다.

 

광주·전남지역의 경우도 2021학년도 신입생 최종 등록을 마감한 결과 지역거점 국립대인 전남대마저도 정원 140명을 채우지 못하는 등 대부분의 대학들이 미달사태에 직면했다.

 

여기에 내년부터는 지방세를 면제해주던 특례까지 사라지게 돼 재정 사정이 더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그야말로 엎친데 덮친 격이다. 이처럼 지방대 위기가 현실화 되면서 전남지역 자치단체도 생존 위기에 처한 ‘지방 대학 살리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대학 쏠림 심화로 인해 지방 대학이 고사될 위기에 처하자 지자체가 우수 인재 유치와 대학 경쟁력 강화에 직접 나선 것이다. 순천에서는 대학생에게 전입 지원금을 주고 있다. 1인당 최대 50만원이다.

 

나주시에서도 관내에 있는 동신대와 손잡고 e 스마트 모빌리티 캠퍼스 구축으로 경쟁력을 확보해 위기를 돌파한다는 계획이다.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메이커스페이스(에너지메이커스팜)와 협업해 국내 대학 최초로 전기자동차(EV)의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에너지캠퍼스’를 구축한다.

 

전기차에서 사용한 배터리의 잔존 용량은 평균 70∼80% 수준으로 전기차 배터리로 계속 쓸 순 없지만, 에너지 저장 장치(ESS), 전기 자전거, 전기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전남도에서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역인재들을 수도권 등에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현재 전남권 의대유치(사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의대 유치가 확정된다면 목포대·순천대 두 곳 중 한곳이 선택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지역인재 확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옥현 전남도의원는 “지방대 위기는 곧 지역 소멸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더욱 더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방안 마련에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무안=한승하 기자 hsh62@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민 ‘매력적인 미소’
  • 김민 ‘매력적인 미소’
  • 아린 '상큼 발랄'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