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AI산업 집적화로 경쟁력 확보할 때 [동서남북]

입력 : 2021-08-13 01:00:00 수정 : 2021-08-12 18:55:0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정부의 AI(인공지능) 산업 기본정책은 집적화다. 광주가 AI산업과 인연을 맺은 것은 2018년이다. 당시 정부는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 광역지자체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하는 사업을 발굴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지자체마다 지역 특성에 맞는 사업을 신청했다. 광주는 사업비가 수조원에 달하는 SOC(사회간접자본) 대신에 AI를 선택했다.

정부는 AI 광주 집적화 정책을 약속하고 지원했다. 광주시는 예타면제 후 2024년까지 5년간 광산구 첨단3지구에 AI 핵심 인프라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구축과 인재 양성, 실증사업, 생태계 조성 등 집적화에 나서면서 AI 관련 100개 기업을 유치하는 성과를 냈다.

하지만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돌연 AI 전국 분산화라는 카드를 꺼냈다. 광주는 인프라, 충청권은 연구개발, 강원권은 데이터, 수도권은 민간 주도 글로벌화 육성 등 AI산업과 정책을 분야별로 쪼개 전국 지자체에 나눠주겠다는 구상이다. 전국의 지자체가 너도나도 발벗고 AI 유치경쟁에 뛰어들자 과기부가 내놓은 고육지인 듯싶다.

광주시는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코끼리가 크다고 둘로 나누면 죽는다”는 극단적인 표현을 써가면서까지 AI 전국 분산화의 부당성을 지적했다. 과기부가 불과 2년 만에 집적화에서 분산화로 틀을 바꿔 지역 균형발전의 약속을 깨고 있다는 것이다.

국내의 AI산업은 아직 걸음마 단계다.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미국 실리콘밸리처럼 도시 한 곳에 집적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국내 AI산업은 집적화로 경쟁력을 확보할 때다. 이미 AI산업의 집적화 기반을 닦고 있는 광주로 몰아줘야 한다. 광주에서 핀 AI 강국의 열매를 전국 지자체와 나누는 전략이 더 바람직하다. 코끼리가 크다고 해서 두 마리, 세 마리로 나눌 수 없는 이치와 같다.


한현묵 사회2부 기자 hanshi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엄현경 '여전한 미모'
  • 엄현경 '여전한 미모'
  • 천우희 '미소 천사'
  • 트와이스 지효 '상큼 하트'
  • 한가인 '사랑스러운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