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12일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겨냥, “영화를 보고 탈원전을 결심했다는 대통령 발언부터 코미디였다”고 비판했다. 안 대표는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월성 1호기 검찰 수사를 방해하지 말라고도 목소리를 높였다.
안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같이 밝히고 “원전 가동 중단 문제를 정부가 결정하고 책임지는 것이 아니라 비전문가인 일반 국민들에게 물어 결정한 것은 정책 결정의 기본조차 망각한 무책임 국정의 표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해당 장관이 원전 경제성 조작의 장본인으로 의심받고 있고, 죽고 싶냐고 협박당한 공무원들은 공문서 444건을 삭제하는 기상천외한 범죄까지 저질렀다”며 “낭만적 감상주의에서 시작된 탈원전은 결국 국정운영 시스템과 공직 기강의 파괴, 그리고 법치의 유린으로까지 귀결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대통령이 영화를 보고 탈원전을 결심했다고 주장했다.
안 대표는 민주당을 향해 “이렇게 불법과 탈법의 정황이 분명한데도, 정당한 수사를 하고 있는 검찰에 대해 ‘검찰 쿠데타’ 운운하며 수사를 방해하는 여당은 도대체 어느 나라 정당이냐”며 “무엇이 무서워서, 누구를 지키려고, 무슨 말 못 할 사정이 있어서 감사원장을 모욕하고, 당 대표까지 나서서 검찰 수사를 방해하는 것이냐”고 했다.

그는 “무엇보다 대통령 스스로가 감사 방해와 진실 은폐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부터 입장을 밝혀야 한다”면서, 여당을 향해서는 “검찰이 정권의 치부를 보호하는 방패가 아니라, 비리 세력의 심장을 찌르는 날카로운 칼로서 본연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가만히 수사 결과를 지켜보기 바란다”고 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2016년 민주당 전 대표 시절 영화 ‘판도라’를 관람하고 “비록 (원전사고) 확률이 수백만분의1 밖에 안 되더라도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다면 우리가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세계에서 가장 심하게 원전이 밀집된 고리 지역 반경 30㎞ 이내에는 340만명이 살고 있어, 만에 하나 원전사고가 발생한다면 최악의 재난이 될 것”이라며 “원전 추가건설을 막고 앞으로 탈핵·탈원전 국가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때문에 야권은 문 대통령이 영화 관람 후 탈원전 결심을 했다고 비판했으나 여권은 문 대통령은 2013년 11월 탈원전 토론회를 주최했고, 2014년 7월에는 새정치민주연합 원전대책특위를 구성해 위원장을 맡는 등 꾸준히 탈원전 목소리를 내왔다고 반박하고 있다.
나진희 기자 na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