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과대학 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설립 등 정부의 ‘4대 의료정책’에 반대하며 무기한 집단휴진을 이어온 전공의들이 오는 7일 오전 업무에 복귀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와 전임의들, 의대생 등이 참가한 ‘젊은의사’ 비대위가 집단휴진을 잠정 유보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지면서다. 그러나 내부에선 단체행동을 이어가야 한다는 반발이 거세게 이는 등 진통이 이어지고 있다.
6일 의료계에 따르면 젊은의사 비대위의 전날 회의에서는 집단휴진을 잠정 유보하자는 데 어느 정도 합의가 이뤄졌다고 한다. 전날 회의에선 전공의와 의대생 등이 각자의 자리로 복귀하되 1인 시위 등으로 대한의사협회(의협)와 여당, 정부 간 합의안에 대한 반대 의사를 개진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내부에서 곧장 거센 반발이 터져나오고 회의 결과에 대한 막판 조율까지 겹치면서 결론을 발표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대전협 비대위 등은 아직까지 별다른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박지현 대전협 비대위원장을 비롯한 비대위 지도부는 의협과 정부의 합의에 따라 단체행동을 잠정 유보하되, 비상사태를 유지해 합의사항 이행 여부를 감시하자는 의견을 냈다고 한다. 전공의들이 업무에 복귀하는 시점은 7일 오전 7시가 유력하게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일선 전공의와 의대생들을 중심으로 집단휴진, 국시 거부 등 단체행동을 지속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전체 투표로 단체행동 지속 여부에 대한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대전협 내에선 박 비대위원장 불신임 안건에 대한 투표까지 진행돼 참석 대의원 197명 중 찬성 71명·반대 126명으로 부결, 박 비대위원장에게 힘이 실렸다.
이날 박 비대위원장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라이브방송을 통해 “지금과 같은 방식이 아니면 파업이 끝난 거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지만, 단계적 파업은 끝이 아니라 가다듬는 것”이라며 단체행동 유보의 뜻을 공식화했다. 그는 “지금 우리가 단체행동을 유보하더라도 분노와 참담함을 새기고 근본적 문제를 혁파해야 한다”며 “우리의 개혁은 절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의협이 정부 및 국회와 날치기 서명을 함으로써 (단체행동의) 명분이 희미해졌다”며 “지금의 단체행동은 유지하기 어려워졌다”고 설명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그러면서도 “우리는 (정부의) 법안 추진을 중단하고 원점 재논의를 명문화했다”면서 위안을 삼았다.
이처럼 내부 반발과 이견이 잇따르면서 젊은의사 비대위가 집단휴진을 중단하고 업무에 복귀하기로 결정하더라도 사태가 쉽사리 봉합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와 관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립·사립대병원 등 수련병원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이 조속히 복귀하지 않는다면 의료 공백 사태가 이어질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도 끊이지 않는다.
전공의들이 어떤 선택을 하게 될지 관심이 모이는 가운데, 전국 수련병원들은 전공의·전임의들에게 조속히 현장으로 복귀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사립대학교의료원협의회와 사립대학교병원협회, 국립대학교병원협회, 대한민국의학한림원,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등 5개 단체는 지난 4일 입장문을 내 “전공의와 전임의는 진료와 수련 현장으로 속히 복귀해주시고, 학생들은 강의실로 돌아와 주시길 간곡히 부탁한다”고 요청한 바 있다.
앞서 의협과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4일 의대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등 정책을 원점에서 재논의하기로 합의했다. 의협은 같은 날 보건복지부와도 해당 정책 추진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대전협 비대위는 의협과 여당, 복지부 간 협상 과정에서 전공의 등의 목소리가 배제됐다며 절차상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의대생과 젊은 의사들의 의견을 존중하겠다는 쪽으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주영 기자 buen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