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와 전주시 등 주요 시군이 미세먼지를 줄여 깨끗한 대기환경을 만들기 위해 올해 친환경 전기자동차 보급에 박차를 가한다.
9일 전북도에 따르면 올해 지구온난화와 미세먼지 발생의 주요 원인인 자동차 내연기관의 배출가스를 줄이기 위해 237억원의 예산을 지원해 친환경 전기자동차를 1255대 보급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보급량 960대보다 295대(30.7%) 늘어난 수준이다.
전북도는 올해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를 2016년 대비 35% 저감을 목표로 한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대책은 자동차 등 이동오염원 관리와 사업장 오염물질 배출원 관리 등 6개 분야, 30개 세부과제에 총 1조3173억원을 투입하는 것이 뼈대다.
이에 따라 전주시는 올해 전기자동차 구매에 68억원을 들여 전기승용차 285대와 전기화물차 58대 등 총 343대의 전기자동차를 보급할 계획이다. 지난해는 174대를 지원했다.
지원액은 승용차 1대당 최대 1720만원까지, 화물차는 최대 2700만원까지다. 신청자격은 전주시에 2년 이상 주소를 둔 만 18세 이상 시민이나 지역 소재 법인, 사업자 등이다. 다만, 지방세 체납이 있거나 최근 2년 이내에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받은 이는 제외한다.
완주군도 올해 친환경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22억원을 들여 전기승용차 100대와 전기화물차 16대 등 총 116대의 구매를 지원한다. 신청 기간은 오는 11일부터 17일까지다.
신청을 원하는 시민·법인은 판매 대리점에서 구매 계약한 뒤 구매 지원 신청서를 작성해 대리점을 통해 환경부 전기자동차 통합포털사이트에 신청하면 된다. 지원대상 차량은 환경부 ‘전기자동차 보급 대상 평가에 관한 규정’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평가항목 및 기준에 적합한 차종이다. 향후 추가되는 차량은 환경부 전기자동차 통합포털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주시는 전기승용차의 경우 출고·등록순으로 차종에 따라 차등 지급하고, 전기화물차는 접수순으로 차량 규모에 따라 차등 지급할 예정이다. 장애인과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등 취약계층과 다자녀가구, 택시 등에는 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을 별도 또는 우선 지원한다.
전기자동차 1대는 연간 이산화탄소(CO₂) 2t을 감축하는 효과가 있으며 연료비도 완속충전 시 연간 16만원으로 휘발유차(157만원)에 비해 141만원을 저감할 수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대기오염물질 저감을 통한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전기자동차 민간 보급을 지속해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주=김동욱 기자 kdw7636@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