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단일화를 백안시할 일은 아니다. 역대 선거에서 후보단일화는 1997년 DJP연합, 2002년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2012년 문재인+안철수 단일화가 있었다. 선거 열기를 고양시키고 유권자의 선택권을 넓혀주었다. 다음 정부는 협치와 연대가 필수다. 안보와 경제의 쌍끌이 위기에 직면하고 있어 역대 어느 정부보다 필요성이 더 크다. 위기관리를 위해선 국정 철학을 공유하는 사람이 많아야 한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만 연대해도 의원수가 72명으로 는다. 단일화 논의가 성공하려면 단일화를 추진하는 세력이 국정운영의 비전을 확실히 보이는 게 중요 선결과제다. 그렇다면 국정주도 세력의 확대 차원에서 대선 전 짝짓기 논의는 국민 지지를 받을 수 있다.
바른정당이 그제 심야 의총에서 의견을 모은 ‘3자 원샷 단일화’는 시간을 다툰다. 나흘 후 29일부터 투표 용지가 인쇄된다. 그때까지 단일화에 대한 가시적 성과가 나와야 동력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명분이 약한 데다 대상 후보들이 적극적이지 않아 성사 가능성이 높지 않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부터 “완주한다는 기존 입장에서 변한 게 없다”고 했다. 국민의당은 “인위적 연대를 거부한다”며 바른정당의 제안을 일축했다. 홍준표 후보는 안철수 후보와 단일화를 거부하면서 조원진 새누리당 후보, 남재준 통일한국당 후보와 단일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이렇게 중구난방이어서야 시너지 효과도 별로이고 국민 지지를 이끌어내기 어렵다.
후보단일화는 한국의 미래를 두고 광범위한 국민적 동의를 받아야 성공할 수 있다. 당리당략과 권력 나눠먹기로 비쳐지는 순간 역풍을 피할 수 없다. 선거공학적이고 명분 없는 야합이어선 국민 지지를 얻기 어렵다. 특정 후보를 반대하는 연대도 시대착오적인 구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