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종상영화제가 '정상 개최'를 천명한 가운데, 올해에도 '반쪽짜리' 시상식이 될 공산이 커졌다. 주요 작품들이 출품을 거절한 데다 후보에 오른 배우들이 대거 불참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제53회 대종상영화제' 사무국은 최근 공식 보도자료를 내고 그간의 잡음과 문제점에 대해 '사과'하고 오는 27일 예정대로 시상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문제는 '시기'다. 시상식 개최 무려 일주일여 앞두고 후보작과 후보자들을 공식 발표한 것. 스케줄이 바쁜 스타들이 그동안 열릴지 말지 확실하지도 않았던 대종상 시상식을 위해, 그것도 '후보에 오르겠지'하고 일정을 비워놨을 리 만무하다.
작년 남녀주연상을 수상해 자동적으로 홍보대사로 위촉된 배우 황정민과 전지현은 스케줄상의 이유로 올해도 불참을 통보했다.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른 배두나(터널)와 심은경(널 기다리며), 남우조연상 후보에 오른 이경영(내부자들) 등도 불참한다. 남우주연상 후보 송강호(밀정), 이병헌(내부자들) 등은 참석 여부를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대종상영화제는 수상자보다 대리수상이 더 많은 '반쪽짜리' 시상식이었다. 이는 시상식을 앞두고 영화제 측에서 '대리수상 불가' 방침을 내세워 오히려 배우들의 반발을 샀기 때문이다. 이에 대종상이 아니라 '대충상'이라는 우스갯소리까지 나왔다.
대종상은 53년의 긴 역사를 자랑하지만 그동안 영화제 운영을 둘러싼 이권 다툼 및 내홍, 그리고 권위를 스스로 무너뜨리는 공정성 논란 등 잡음이 끊이지 안았다.
올해 대종상 사무국은 "진심으로 반성하고 머리 숙여 용서를 구한다"라며 사과부터 했다. 하지만 문제는 여전히 산적해 있다.
대종상 측이 공개한 후보작(자) 명단만 봐도 알 수 있다. 총 19개 부문 중 '곡성'이 무려 15개 후보, '밀정'이 13개 후보에 올라와 있다. 그런데 어디를 봐도 '아가씨' '부산행' '동주' 등 작품성과 화제성을 인정받은 작품들의 이름은 찾아볼 수 없다. 아예 출품조차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종상은 '출품제' 형식으로 후보작을 선정, 이 역시 문제로 지적돼 왔다. 대부분의 영화제가 일정기간 상영된 전체 영화들 가운데 후보작을 선정하는 데 반해, 대종상은 출품된 작품들만 대상으로 한다. 이 때문에 과거에는 개봉도 하지 않은 작품이 후보에 오르거나 수상작으로 선정되는 촌극이 빚어지기도 했다. 올해 역시 수백편의 개봉작 중 단 29편 만을 대상으로 각 부문별 후보를 선정, 또 다시 공정성에 의문을 품게 만들었다.
'제53회 대종상영화제' 시상식은 12월27일 오후 6시 서울 세종대학교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현화영 기자 hhy@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