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한민구 국방부 장관과 나가미네 야스마사(長嶺安政) 주한 일본대사는 이날 국방부 청사에서 양국을 대표해 GSOMIA에 서명했다. 협정은 이날 발효됐다.
![]() |
한민구 국방부 장관(오른쪽)과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 일본대사가 23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군사비밀정보보호협정(GSOMIA)에 서명하고 있다. 국방부 제공 |
GSOMIA는 국가 간 군사기밀 공유를 위해 지켜야 할 보안 원칙을 담은 협정이다. 정보의 제공 방법과 보호 원칙, 파기 방법, 분실 대책 등을 정하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미국을 통해 얻는 정보에 일본 정보까지 더해지면 대북감시 능력과 대북정보의 질적 수준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첩보 수집 출처가 다양할수록 양질의 정보 생산이 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본과의 군사협력이 시기상조라는 여론과 야당 반대를 무시하고 정부가 협정 체결을 강행한 데 따른 비판 여론이 거세 후폭풍이 예상된다.


![]() |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공식 서명식이 열린 23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앞에서 참여연대, 평통사 등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중단을 요구하며 피켓시위를 벌이고 있다. 남정탁 기자 |
국방부는 이날도 GSOMIA 서명식을 비공개로 해 ‘밀실서명’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았다. 일부 사진기자들은 서명식 취재를 요구하며 국방부 청사에 들어서는 나가미네 대사 앞에서 카메라를 내려놓은 채 항의하기도 했다.


![]() |
사진기자 취재 거부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 일본대사가 23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국방부의 한·일 군사비밀정보보호협정(GSOMIA) 서명식 비공개 방침에 항의해 카메라를 바닥에 내려놓고 팔짱을 낀 채 취재를 거부하는 사진기자들 사이로 지나가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
이명박정부에서 GSOMIA 체결을 추진했던 천영우 전 외교안보수석은 “협정 체결 시기 문제는 논란이 있을 수 있다”면서도 “과거에 우릴 침탈한 나라로부터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라는 인식이 있는데, 현실적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가 가장 취약한 부분이 대북 정보로 미국 정찰자산을 총동원해도 우리가 알고 싶은 것의 10분의 1도 알기 힘들다”며 “그 공백을 일본이 상당 부분 메워줄 수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박병진 군사전문기자 worldp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