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지역문화 캔버스에 장기 발전 ‘큰 그림’ 그려라

입력 : 2015-11-16 06:00:00 수정 : 2015-11-16 06:00:00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문화융성시대, 지역문화를 살려라] 외국 사례들이 주는 교훈 문화를 매개로 한 지역 재생·발전 전략은 세계 각국 도시에서 시도되고 있다. 일본 가나자와가 그렇고, 요코하마나 영국의 이스트엔드 등도 형태는 다르지만 문화중심형 발전을 지향한다. ‘문화클러스터’는 이런 지역들의 성공 사례를 분석하는 틀이다. “서로 밀접한 연계를 가지고 상호작용하는 예술의 생산 및 관련 기능의 지리적 집합체”로 정의되는 개념이다.

이스트엔드에서는 정부의 지원보다 민간의 자발적 활동을 통해 문화클러스터가 활성화했다. 가나자와에서는 전통문화산업에 정책적 지원이 집중돼 공방이 도심에 형성됐고, 요코하마는 예술가들을 유치해 창조지구를 조성했다. 한국에서도 문화중심형 발전이 종종 시도되지만 상당수가 개발압력에 밀려 급속히 상업화하거나 충분히 활성화하지 못한 게 현실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국토연구원은 한 보고서에서 외국의 사례에서 주목해야 할 점을 네 가지로 제시했다.

첫째, 문화클러스터 지원은 단기 성과에 집착하지 말고 장기적 안목에서 간접지원이 바람직하다는 점이다. 외국 사례들은 문화클러스터를 통한 공동체, 지역 재생정책을 실시할 때 예술가 개인에 초점을 두고 직접적으로 그들의 활동을 지원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둘째, 민간의 비영리단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이스트엔드는 런던과 같은 대도시에서 예술가들이 창작공간을 확보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준다. ‘ACME 스튜디오’ 등의 비영리단체는 예술가들에게 저렴한 작업실, 주거공간을 지원하며 힘을 보탰다.

셋째, 지역의 고유한 문화·사회적 자본 이해가 필수다. 전통공예와 역사적 경관의 가치를 존중하고 현대적으로 해석해 나름의 발전을 일군 가나자와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넷째, 행정조직의 혁신이 필요하다. 요코하마는 도시계획 분야의 조직을 혁신함으로써 직·간접적인 지원과 제도적 뒷받침이 가능했다. 지역 고유의 자원들이 급격한 발전과정에서 사라지거나 상업화하는 것을 막은 것도 혁신에 성공한 행정조직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강구열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