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역사 속 희생자들 부활 ‘해원의 무대’ 만들어

입력 : 2014-05-22 21:07:02 수정 : 2014-05-22 21:07:0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현수정의 공연 돋보기]
에밀 쿠스트리차 감독의 영화 ‘언더그라운드’는 유고의 내전이라는 뼈아픈 역사의 상처를 집시음악과 떠들썩한 유머를 활용하여 카니발적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개인적으로 이 영화의 마지막 장면이 매우 인상 깊었는데, 죽은 이들이 모두 되살아나서 어린아이처럼 유희하는 모습이 여운을 남겼다. 공연에서도 극의 말미에 희생자들이 부활하는 환상 장면이 묘사되곤 한다. 특히 전쟁이나 내전처럼 대량살상이 이루어진 역사적 사건들을 다룰 때에 그러하다.

뮤지컬 ‘바람의 나라’는 고구려 3대 왕인 무휼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무휼은 주몽의 뜻을 이어받아 잃어버린 땅 ‘부도’를 향한 발걸음을 멈추지 않는다. 그 와중에 수많은 신하들과 사랑하는 사람들, 그리고 아들까지 잃게 된다. 무휼은 왜 그렇게까지 하면서 ‘부도’로 향해야만 했을까. 대의를 이루기 위해 숱한 희생을 치르는 그의 모습은 생각해 봄직한 화두를 던진다. 지금은 개인들의 욕망을 누르며 어디론가 다 함께 급히 향하기보다는 구성원들 서로를 다독이며 위로하는 일이 공동체의 존속을 위해 더욱 시급하지 않을까. 한편 호동 왕자는 아버지 무휼과 대조적으로 아무도 피 흘리지 않고 모두 함께 웃을 수 있는 세상을 꿈꾼다. 안타깝게도 미처 꽃을 피워보지도 못한 채 자결하고 말지만. 극의 말미에 이러한 호동에게 가장 밝은 조명이 떨어지는 것에서 반성적으로 생각해 봐야 할 공동체의 가치와 휴머니즘에 대한 메시지를 읽어볼 수 있다.

5·18 광주 민주화운동을 소재로 한 ‘푸르른 날에’는 역사 속에서 청춘들이 잃어버린 사랑과 꿈, 해원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런가 하면 연극 ‘푸르른 날’은 5·18 광주 민주화운동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하지만 역사적 사건 자체보다 그 속에서 상실된 청춘들의 사랑과 꿈을 조명한다. 그리고 과거의 이야기에 몰입하기보다 현재 ‘살아남은 자’의 슬픔과 해원의 이야기에 초점을 맞춘다. 주인공 민호는 트라우마 때문에 자신의 아이를 임신한 여인 정혜와의 인연을 끊고 불가에 귀의해 살아온 인물이다. 그는 30년이 지난 후 여전히 아비임을 감춘 채 딸의 결혼식에서 손을 잡아주며 상처를 풀어낸다. 이 극의 말미에는 이러한 민호와 정혜의 회한에 젖은 눈빛 너머로 30년 전의 본인들, 그리고 친구들의 천진한 모습이 펼쳐진다. 이들은 당시 전 세계를 강타했던 핑크 플로이드의 히트곡에 맞춰 춤을 추던 해맑은 청춘의 모습이다. 이러한 환상 장면은 역사의 상처를 ‘눈이 부시게 푸르른’ 오월처럼 따뜻한 사랑과 휴머니즘으로 치유하고픈 열망을 느끼게 한다.

‘명성황후’의 백미인 마지막 장면에서도 모든 인물들이 흰 옷을 입고 전진하며 ‘백성이여 일어나라’를 부르며 아직 풀지 못한 역사적인 상처를 상기시킨다.

이러한 장면들은 잔혹한 역사의 흐름 속에서 숱하게 목숨을 잃은 개인들을 애도하는 의미를 지닌다. 의정부 음악극축제에서 초청 공연된 러시아 ‘트캉카 극장’의 ‘넷 렛’에 이런 대사가 나온다. “이 세상에 흥미롭지 않은 사람은 없다. 그들의 인생은 마치 행성의 역사와 같다. 모든 사람들에게는 자신만의 특별한 것이 있고, 마찬가지로 서로 닮은 행성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한 사람이 죽는다는 것은 그와 함께 했던 첫 눈도, 그의 첫 키스도 … 함께 했던 이 모든 것이 함께 사라진다는 것이다.” 이는 러시아의 거장 시인 옙투셴코가 쓴 시의 한 구절이다. 같은 맥락에서 정현종의 시 ‘방문객’의 한 구절도 떠올려 볼 수 있다. “한 사람이 온다는 것은 실로 어마어마한 일이다. 그는 그의 과거와 현재와 그리고 그의 미래가 함께 오기 때문이다.” 공연장은 이러한 행성 같은 중력을 지닌 소중한 사람들이 한자리에 모여 마음을 나누는 자리이다. 이는 산 자와 죽은 자, 현재와 과거가 해원하는 자리이기도 하다. 죽은 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산 사람의 미래를 꿈꾸게 하는 것이 무대이기 때문이다. 그 방법이 사실적이든 양식적이든 비극적이든 희극적이든 관계없다. 중요한 것은 진정성과 휴머니즘이다.

현수정 공연평론가·중앙대학교 연극학과 객원교수

<세계섹션>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