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원은 지난해 전국의 만 19~59세 남녀1000명을 대상으로 능력중심사회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능력중심주의 사회 구현을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 분야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36.0%는 '학교교육의 정상화와 내실화'를 택했다.
이어 '노동시장 진입 단계에서의 선발과 채용의 공정성' 17.6%, 직장에서의 공정한 평가와 보상체제 17.1%가 뒤를 이었다. 교육제도와 노동시장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됨을 알 수 있다.
'능력'을 가장 잘 나타내는 지표로는 '현장실무능력'이 59.8%를 점유해 가장 높았다. 이어 '인성'(14.8%), '스펙'(6.6%), '학벌'(5.0%), '창의력'(4.7%), '학력'(4.2%) 순이었다.
개발원은 능력중심사회에서 '현장실무능력'이 능력을 가장 잘 보여주는 지표라는 조사결과를 고려할 때, 학교교육의 정상화와 내실화를 위해서는 노동시장에서 필요한 현장실무능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능력중심사회 구현 정책을 묻는 질문에 대다수(79.5%)는 '현장 수요에 부응하는 직업교육훈련'이 가장 타당하다고 인식했다.
또 응답자의 36.9%는 능력중심사회가 되면 평가와 선발이 공정해지고 정의로운 사회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사회적 약자를 위한 기회와 패자부활전이 많아져 평등한 사회가 될 것'(18.0%), '꿈과 끼를 살리는 행복교육이 가능해질 것'(17.9%)이라는 응답도 있었다.
아울러 능력중심사회의 의미를 알고 있는 국민은 42.8%, 모르고 있는 국민은 23.9%로 능력중심사회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위해 지속적인 대국민 홍보가 필요함을 시사했다.
정지선 선임연구위원은 "이제까지의 한 줄 세우기식 교육에서 벗어나, 개인의 소질과 적성을 찾아주는 교육체제로 변모해야 한다"며 "진로지도, 현장실무능력을 중시하는 교육과정,선택지가많은교육을 지향해야하며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대학 등 직업교육체제는 산업현장과의 밀착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능력중심사회 구축을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공정하고 합리적인 평가및 선발체제가 확립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뉴시스>뉴시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