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文 대통령 “내년 건국 100주년” 쐐기 박기

입력 : 2018-03-01 18:21:27 수정 : 2018-03-01 23:38:2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건국절 논란’ 재점화 / “대한민국 법통은 임시정부에 뿌리” / “갈등 유발하는 발언”… 한국당 반발 ‘건국절 논란’이 재점화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99돌 3·1절 기념사를 통해 “새로운 국민주권의 역사가 대한민국 건국 100주년(2019년)을 향해 다시 써지기 시작했다”고 밝히면서다. 문 대통령이 지난해 광복절 경축사에 이어 건국절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1948년이 아닌 상하이 임시정부가 들어선 1919년으로 쐐기를 박은 것이다.
문재인대통령 내외가 1일 오전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에서 열린 제 99주년 3.1절 기념식에 참석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문 대통령은 1일 기념사에서 대한민국 법통이 왜 임시정부에 뿌리를 두고 있는지를 조목조목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3·1운동으로 수립된 임시정부의 헌법은 ‘대한민국이 민주공화제이며 나라의 주권이 국민에게 있다’고 명백하게 새겨 넣었다”며 “그것이 지금 대한민국 헌법 제1조가 됐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우리가 임정으로부터 헌법 제1조 이외 국호와 태극기, 애국가 등 국가 상징까지 물려받았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은 3·1절을 기념해 발간한 ‘대한민국 정통성 확립을 위한 역사의 재정립’ 보고서를 통해 “이승만 전 대통령만을 국부로 보는 ‘8월15일 건국절’은 잘못된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제헌 헌법과 현행 헌법은 대한민국이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했다고 명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1일 서울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에서 열린 제99주년 3ㆍ1절 기념식에서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바른미래당 박주선 대표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건국절을 대한민국 정부가 공식 수립된 1948년 8월15일로 보고 있는 보수 진영은 즉각 반발했다. 자유한국당은 논평을 통해 “정치적으로 첨예하게 대립하는 사안에 대해 논란과 갈등을 유발할 소지를 불러일으킨 것은 신중치 못한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송민섭 기자 stsong@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나연 '깜찍한 브이'
  • 나연 '깜찍한 브이'
  • 시그니처 지원 '깜찍하게'
  • 케플러 강예서 '시크한 매력'
  • 솔지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