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정상화 가닥 '용산개발' 아직 넘어야 할 산 많다

입력 : 2013-03-21 23:41:20 수정 : 2013-03-21 23:41:20

인쇄 메일 url 공유 - +

코레일 사업 제시안 싸고
삼성물산 등 민간출자사
물량 배정·수익 보장 요구
주민들 찬반 투표도 변수
채무불이행(디폴트)에 빠진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정상화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 핵심 쟁점인 랜드마크 빌딩 시공권을 두고 민간 출자사인 삼성물산이 이번 사업의 최대주주인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제안을 받아들인 데 따른 것이다. 그러나 코레일 측이 제시한 정상화 조건에 대해 몇몇 출자사가 조건부로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데다 반대의견도 불거져 낙관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2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코레일이 이날 정상화 조건에 관한 29개 출자사의 의견을 취합한 결과 삼성물산은 조건부 수용의사를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코레일은 15일 용산사업 정상화 조건으로 삼성물산에 랜드마크 빌딩 시공권을 포기하라고 요구했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용산사업을 정상화해야 한다는 인식에는 변함이 없다”며 “다만 일부 조정 문제가 있어 25일로 의견 전달을 미뤘다”고 설명했다. 삼성물산은 시공권을 내놓는 대신 다른 단서조건을 놓고 코레일과 협상을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건설출자사(CI)도 시공물량 배정 등의 조건을 전제로 수용한다는 의견을 코레일 측에 전달했다. 일정 수익을 보장받기 위해 시공비와 수익을 따로 정산하는 ‘코스트 앤드 피’ 방식으로 변경할 것도 주문했다. 일부 재무적투자자(FI)도 수익보장 조건을 달았다. 자본금 증액과 상호 청구권 포기도 수용하기 어렵다는 뜻을 전달했다.

코레일의 용산사업 시행사와 자산관리위탁회사 장악 역시 특별결의 조항 등 견제장치를 마련한다는 조건을 붙여 동의했다. 출자사 다수가 정상화 방안에 조건부 동의를 밝힌 셈이다. 반대의견을 제출한 곳도 있지만, 소수로 전해졌다.

코레일은 일단 취합한 의견을 토대로 22일 경영전략위원회에서 정상화 방안을 논의하고, 25일 이사회를 열어 확정하기로 했다. 한 관계자는 “오늘(21일)까지 방침을 결정하지 못한 출자사에는 25일 이전까지 수용 여부를 전달해 달라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코레일 측은 지분 기준으로 출자사 중 75% 이상 동의하지 않으면 파산 절차를 밟을 생각이다. 업계에서는 비록 조건부이긴 하지만 코레일이 첨예하게 대립했던 삼성물산을 상대로 랜드마크 빌딩 시공권 포기 의사를 받아낸 만큼 당장 파산으로 몰고 가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조건부 수용을 놓고 어느 정도 진통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용산사업에 포함된 서부이촌동 주민들이 6월 말까지 사업 찬반투표를 진행해 정상화의 큰 변수로 등장했다. 찬성률이 50%를 밑돌아 변경부지 비율이 5%를 넘으면 사업계획서를 바꿔야 한다. 코레일 관계자는 “사업계획서를 변경하면 원점으로 돌아가는 만큼 사업을 접어야 한다”고 말했다. 서부이촌동 주민은 용산개발을 둘러싸고 찬반으로 갈려 갈등을 빚고 있다.

황계식 기자 cul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블랙핑크 제니 ‘수줍은 손인사’
  • 블랙핑크 제니 ‘수줍은 손인사’
  • 카리나 '해맑은 미소'
  • 박은빈 '반가운 손인사'
  • 전지현 '단발 여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