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6개구 300억 부담 손사래
금액 차이 커 市 중재도 안먹혀 음식물 쓰레기 처리비용 인상을 놓고 서울 시내 일부 자치구와 처리업체가 갈등을 빚고 있다. 일부 자치구에서는 쓰레기 수거가 지연되는 등 주민 불편이 잇따르자 서울시가 중재에 나섰지만 금액 차이가 적지 않아 해결책을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14일 서울시와 자치구 등에 따르면 시내 음식물 쓰레기를 위탁처리하는 민간업체들이 음식물 쓰레기 1t당 8만원 내외로 받던 처리비용을 올해부터 12만원대로 60%가량 인상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25개 자치구 중 음식물 쓰레기 공공처리 시설을 갖춘 5개 구와 이 시설을 함께 이용하는 4개 구를 제외한 16개구는 민간업체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맡긴다.
민간업체들은 올해부터 쓰레기 폐수를 바다에 버릴 수 없기 때문에 육상에서 처리하려면 비용이 더 들어간다고 주장한다. 업체 대부분이 회원으로 속해 있는 (사)한국음식물류폐기물자원화협회는 환경부가 제시한 적정 처리 비용에 증가분을 더하면 13만원선이 적정하다는 가이드라인을 내놨다.
그러나 자치구들은 비용 인상의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업체·구청별로 서로 다른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일괄적 인상 요구라고 반발하고 있다. 업체 주장대로 가격을 인상하면 16개 자치구에서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금액만 연간 3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양천구 홍경식 음식물처리팀장은 “A업체는 폐수를 수도권매립지에서 처리하고 B업체는 바이오가스로 재활용하는 등 업체별로 처리 방식이 다른데 어째서 인상폭은 다 똑같은지 알 수 없다”며 “인상요인이 투명하게 확인되면 현실화해서 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성북구 양옥석 재활용팀장은 “성북구는 지난해 16억원을 들여 처리 시설을 설치하는 등 총 15.7t을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며 “업체 측이 구에서 제시하는 시설을 활용하면 처리 비용을 60%까지 인상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강서구는 쓰레기 대란을 우려해 이번 한 달간 업체 측이 요구하는 t당 12만7000원으로 임시 계약을 맺었다.
시는 이날 협회, 구청 관계자들과 만나 업체와 구청이 인상폭을 협상하는 동안 쓰레기 수거가 중단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협조를 요청했다. 또 24일에는 환경부 주관으로 경기·인천지역 관계자 등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대해 면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효실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