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서울지방국토관리청으로부터 용역을 의뢰받은 호서대가 작성한 ‘한강살리기 3공구 저류지·하도 굴착에 따른 주변지역 지하수 영향 검토’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지역의 지하수위 저하는 저류지 굴착과 계절적인 남한강 수위 변화 등 수리지질학적 요인과 더불어 수막재배로 인한 과다 취수, 부실 관정 설치, 관정 간 간섭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저류지와 근접한 양촌·당산리 37농가, 87개 관정은 저류지 굴착이 지하수위 저하의 주원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양촌영농조합법인 대표 박영복씨를 비롯한 저류지 주변 대신면 주민 83가구는 지난 4월부터 “저류지 공사로 지하수가 고갈돼 농업용수는 물론 식수도 나오지 않는다”며 여주군과 서울지방국토관리청 등에 민원을 제기했다.
7개 마을, 109농가, 292개 관정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저류지 옆 양촌·당산리 19농가는 저류지 굴착 탓(주원인)에 지하수위가 1.5∼2m 이상 낮아져 양수량이 부족하거나 불가능한 것으로 나왔다. 이보다 떨어진 양촌리 18농가는 수막재배에 따른 과잉 취수가 주원인이지만 저류지 굴착과 남한강 수위 변동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이밖에 보통·천서·천남·당남·내양리 지역은 저류지 굴착으로 인한 직간접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왔다.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은 그동안 “4대강 사업 전에도 저류지 인근에 수막재배로 인한 지하수 부족 현상이 발생했다”며 비닐하우스 수막재배를 지하수 고갈의 주요인으로 지목했다.
하지만 양촌·당산리 일부에서는 저류지 굴착이 지하수 고갈의 가장 큰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와 시행자인 서울국토청과 시공사 대림산업은 주민들의 반발을 의식해 영향지역에 대한 손해사정을 통해 보상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수원=김영석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