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이 월간 기준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지만 원유 도입 가격이 배럴당 134달러로 급등하면서 수입 역시 사상 최대를 기록해 무역수지는 2개월 연속 적자를 이어갔다.
1일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7월 수출입동향(잠정치)’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414억1300만달러, 수입은 430억3800만달러로 16억2500만달러의 무역수지 적자를 나타냈다.
이 같은 무역수지 적자폭은 지난 1월 39억3000만달러를 기록한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큰 것이다.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7.1% 증가했고 수입액 역시 작년 동월에 비해 47.3% 급증했다. 수출 증가율은 2004년 6월(38.3%) 이후 가장 높았고 수입 증가율은 2000년 3월(52.7%) 이후 최고치다.
무역수지는 올 들어 지난 5월에만 9억2000만달러 흑자를 냈을 뿐 나머지 6개월은 적자를 기록해 7월까지 무역수지 적자는 77억9000만달러에 달했다. 따라서 연간 기준으로 무역수지는 외환위기 이후 11년 만에 처음 적자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품목별 수출을 보면 경유와 항공유 등 석유제품이 51억4000만달러로, 단일품목 기준 사상 최대 수출액 기록(2008년 5월 선박류 48억달러)을 갈아치웠다. 유가 급등에 따라 석유제품은 2개월 연속 수출 1위를 달성했고 올해 1∼7월 누계로도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주력 수출제품인 반도체는 D램 가격 하락에 따라 6% 줄어 2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으며, 자동차도 현지 생산 증가에 따라 6% 감소했다.
수입은 원유(85%)와 가스(110%) 등 에너지자원과 철강제품(106%) 등을 중심으로 급증했다. 자본재는 13.5%로 소폭의 증가세를 보였고, 소비재는 16.5%를 기록했으나 농산물(39%)과 승용차(38%)는 급증했다.
지경부는 “7월16일 이후 유가하락 추세는 20일 정도 시차를 두고 수입액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8월에는 월간 무역수지가 흑자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하동원 기자
goodnew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