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MB, "로봇물고기 크기 이렇게…" 참모진들 '깜짝'

입력 : 2010-06-19 09:57:44 수정 : 2010-06-19 09:57:44

인쇄 메일 url 공유 - +

“(로봇물고기가)너무 커서 다른 물고기들이 놀란다. 크기를 줄여야 한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달초 4대강 사업 관련 청와대 수석실로부터 보고를 받던 자리에서 4대강에서 사용될 ‘수질조사용 로봇물고기’ 크기가 1m가 넘는다는 설명을 듣고 이같이 지시했다고 참모들이 18일 전했다. 이 때문에  크기가 절반 이상 축소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 주문에 대해 참모들은 일단 “많은 첨단 복합기술이 들어가야 되기 때문에 크기를 줄이는 게 불가능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에 이 대통령은 “그러면 그 기능을 나눠서 여러 마리가 같이 다니게 하면 되지 않느냐”며 ‘편대유영’ 기술 개발을 제의했다는 후문이다.

참모진은 연구진과 협의한 결과 실현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세계 최초의 편대 유영 기술 연구에 착수해 최근 개발을 완료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참모는 “크기를 줄여 여러 마리가 함께 다니도록 하라는 대통령의 말을 듣고 깜짝 놀랐다. 감각이 대단하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일단 크기는 45㎝로 절반 이상으로 줄이고 4마리가 편대를 이뤄 서로 통신하고 기능을 보완하면서 함께 유영하도록 했다.

현재는 로봇물고기가 배터리 충전을 위해 스스로 복귀하는 방법, 위험한 장애물을 피해가는 방법, 수질 측정 정보의 저장 및 전송 방식 등에 대한 기술 개발 및 보완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마리당 가격은 초기에는 2400만원 정도가 될 예정이지만 양산 체제에 들어가면 500만~800만원 정도로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우리나라가 환경조사용 로봇물고기 개발 및 양산·시판에 성공할 경우 이는 모두세계 최초가 된다.

로봇물고기는 소재 공학, 정보기술(IT), 첨단배터리 기술, 엔진공학, 전파탐지 기술, 환경오염 탐지 기술 등 최첨단 과학기술의 복합체로, 선진국인 영국과 일본 등도 현재 단순한 유영 기술을 개발중인 단계라고 청와대는 전했다.

청와대는 내년 10~11월쯤 4대강에 로봇물고기를 풀어넣을 계획이며, 양산 체제가 갖춰지면 수출도 추진할 방침이다.

로봇물고기는 지난해 11월27일 생방송 중계된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이 대통령이 처음 소개했다. 당시 이 대통령은 4대강 홍보영상에서 ‘물고기 로봇’이 나오자 “저건 낚시를 해도 (미끼를) 물지는 않는다”고 말해 폭소가 터지기도 했다.

허범구 기자 hbk1004@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황금 골반 뽐내’
  • 있지 유나 ‘황금 골반 뽐내’
  • 채수빈 '완벽한 미모'
  • 이은지 ‘밥값은 해야지!’
  • 차주영 '완벽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