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한군에 의한 금강산 관광객 총격 피살 사건이 발생한 11일 서울 계동 현대아산 사무실에서 기자들이 회사 관계자를 둘러싸고 질문을 하고 있다. 왼쪽에 걸린 대형 사진은 지난 10일 개장한 금강산 해수욕장 모습. 김창길 기자 |
현대아산은 11일 박왕자씨가 총격으로 사망한 사실을 알고도 관광객 373명을 금강산으로 보낸 사실이 뒤늦게 밝혀져 물의를 빚고 있다.
현대아산은 이날 오후 2시30분 관광객 4개팀 373명에게 박씨의 사망 사실을 통지하지 않은 채 금강산으로 출발시켰다. 북측이 박씨의 사망을 알려온 시점이 오전 9시20분이므로 현대아산은 사망 사실을 최초 인지한 지 5시간 뒤 관광객을 출발시킨 셈이어서 비난을 면키 어려워 보인다. 이와 함께 현대아산은 이날 오전 북측으로부터 사건 경위를 보고받고도 2시간여나 지나 통일부에 사실을 알려 늑장 보고했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이명박 대통령이 피격 사건을 보고받은 시간은 사건 발생 8시간여 지난 오후 1시30분쯤으로, 국회 개원 연설을 위해 청와대를 떠나기 불과 20분 전이었다. 국방전문가인 친박연대 송영선 대변인은 청와대 위기관리 시스템의 문제를 지적하면서 “국가 안보 문제에 대한 근본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이 피격 사건에도 불구하고 개원 연설에서 북한에 대한 전면적인 대화 재개를 제의한 데 대해서도 이번 사건의 파장을 과소평가한 부적절한 판단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황계식·김수미 기자
cult@segye.com
[관련기사]
☞ "北초병, 朴씨 1㎞ 쫓아가 총격"
☞ 정부, 깜깜무소식에 늑장보고… 한심한 대응
☞ 평범한 주부가 2m 되는 펜스 과연 어떻게 넘었나
☞ 새벽 산책하다 통제선 넘어…50代 주부 피격 사망
☞ 관광객들 "피격장소 출입통제 경고 못 들었다"
☞ 남북관계 영향은?…북측 "우발적 사고" 주장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