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이명박 정부, 원점에서 새 출발하는 각오로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08-06-01 19:58:13 수정 : 2008-06-01 19:58:1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촛불집회가 수그러들 전망이 아니다. 시위규모도 커지고 양상도 격렬해지고 있다. 대통령의 대국민사과나 수정된 소고기 고시도, 검·경의 강력한 진압책도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미국산 소고기의 안전문제에서 이제는 고유가와 원자재값 상승으로 인한 물가 급등 등 경제난에 대한 민심이반까지 겹쳐 상황은 더욱 꼬이고 있다. 1987년 민중항쟁 이후 최대의 시위라는 점에서 사태의 심각성을 잘 말해준다.

정부가 농수산 등 문제 장관 2∼3명과 청와대 일부 수석의 교체 등 종합적인 국정쇄신책을 검토하고 있다니 늦었지만 다행이다. 이번에야말로 국정쇄신책은 그 진정성이 국민의 뼛속까지 와닿도록 해야 한다. 지난 5월의 형식적이고 알맹이 없는 대국민담화와 같은 임시방편이어서는 사태를 장기화·만성화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이명박 대통령이 대국민담화에서 ‘변하겠다’고 다짐했던 그 약속이 식언이 되지 않아야 한다.

정부 출범 후의 잘못된 국정 운영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 일부 장관과 청와대 수석의 경질 등으로 사태가 수습될지도 의문이다. 인적 쇄신의 기회를 놓쳤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런 데도 ‘인적 쇄신은 대통령의 선택에 달려있다’고 하는 한나라당의 한심한 현실 인식과 기회주의적 태도는 어안이 없다. 다시는 ‘고소영’ ‘강부자’ ‘S라인’과 같은 말이 나오지 않게끔 인적 쇄신을 행해야 한다.

내일이면 출범 100일을 맞는 이 정부에 ‘총체적 실패’라는 평가가 나올 만큼 국민은 부정적이다. 게다가 소고기, 물가 급등, 북한 핵 문제 등 전방위적으로 도전을 받고 있다. 청와대와 내각, 한나라당 등 여권이 모두 달려들어도 힘이 부칠 형국이다. 이런 위급한 상황에서 당은 ‘친박 입당’ 문제로 정치 놀음이나 벌이고 정부는 틈만 나면 다수 국민이 반대하는 ‘대운하’를 추진키 위해 꼼수까지 동원하니 어떤 국민이 이런 독선적이고 오만한 정부·여당을 믿겠는가. 모든 것을 버리고 무에서 새롭게 시작한다는 각오와 국민 존중이 쇄신책에 담겨야 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시그니처 지원 '깜찍하게'
  • 시그니처 지원 '깜찍하게'
  • 케플러 강예서 '시크한 매력'
  • 솔지 '아름다운 미소'
  • 케플러 샤오팅 '심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