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를 비롯한 국제사회는 2004년 쓰나미 참사를 기억하고 이재민 구호와 피해 복구를 제의했지만 구호 요원의 입국이 막혀 있는 실정이다. 미얀마 군정은 현금과 물품만 달라고 할 뿐이다. 구호요원들이 활동을 할 경우 자칫 자신들의 독재정권에 틈새가 생길까 봐서인 듯하다. 정권의 정통성이 없어 자신이 없다는 징표가 아니겠는가. 지구상에 그 어떤 나라가 구조의 손길을 거부한 적이 있던가. 국민이 죽어가도 아랑곳하지 않는 독재 정권이 아니고서야…. 피해지역에선 시체가 아직도 물 위에 떠다니고 있다고 한다. 눈 뜨고 못 볼 상황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바깥에서는 “미얀마의 군사독재를 잊고 고통 속에서 죽어가는 국민을 돕자”는 국제사회의 호소와 절규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온 나라가 난리에 빠진 와중에도 헌법개정을 위한 국민투표를 강행한 그들 눈에는 정권유지밖에 보이는 게 없는 모양이다. 유엔이 연기할 것을 촉구했지만 역시 막무가내였다. 한때 동남아에서 부국에 속했던 미얀마가 최빈국 중의 하나로 전락한 이유가 바로 그들의 강권통치에 있음을 느끼게 한다.
미얀마 국민은 천재지변에 울고 독재정권의 사악한 폐쇄정책에 울고 있다. 사이클론보다 전염병 창궐 등 후유증이 더 큰 재앙을 불러온다는 경고마저 미얀마 군정은 외면하고 있다. 군정은 이제라도 국민의 고통을 덜기 위해 국제사회의 인도적인 인적·물적 지원을 받아들여야 한다. 국제사회로부터 더 이상 비판과 공분(公憤)의 대상이 되지 말길 바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