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현정 교수 이원목 교수 |
국민대 이현정 교수와 세종대 이원목 교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동연구팀은 유기(염료감응) 태양전지의 효율은 물론 안정성과 공정성을 높일 수 있는 산화티타늄(TiO2) 광결정 필름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산화티타늄은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의 단점을 보완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핵심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태양광을 가두고 증폭시킬 수 있는 광결정(투명 고체물질을 수백나노미터 크기의 격자 형태로 배열시킨 1∼3차원 구조) 기술과 접목시키는 과정이 어려워 에너지 효율은 그리 높지 않았다.
연구팀은 슬라이드 코팅법으로 산화티타늄 나노입자와 고분자 마이크로입자의 합성액을 기질상에 빠르게 정렬시킨 뒤 열처리함으로써 기존 필름보다 발전효율이 50% 이상 향상된 산화티타늄 광결정 필름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송민섭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핵추진잠수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44.jpg
)
![[기자가만난세상] 한 줄의 문장을 위해 오늘도 뛴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04.jpg
)
![[세계와우리] 멀어진 러·우 종전, 북핵 변수 될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31.jpg
)
![[삶과문화] 공연장에서 만난 안내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767.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