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5.5%·농림어업 2.5%順
은행 대출의 절반이 서비스 분야에서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현재 예금은행의 산업 대출 잔액 642조원 중 서비스업 대출은 50.1%(322조원)를 차지했다. 부문별로는 도소매·숙박·음식업이 110조원으로 가장 많았고, 부동산·임대업 90조원, 금융·보험업 22조원 등이 뒤를 이었다.
과거 한국 경제를 이끌던 제조업 분야의 대출은 금속가공·기계장비 58조원, 석유화학·의약품·플라스틱 41조원, 1차금속 25조원 등 256조원으로 전체 산업 대출 잔액의 39.9%에 그쳤다.
제조업 대출은 2002년 3월 전체 산업 대출의 44.2%를 차지하는 등 서비스업(37.6%)보다 높은 점유율을 보였지만 2003년부터 서비스업에 역전됐다. 서비스업 대출은 국내 경제구조 변화에 힘입어 2009년부터는 은행 대출의 과반 지위까지 올라섰다. 실제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의 산업별 구성비에서도 서비스업이 58.2%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으며, 제조업 31.1%, 건설업 5.8%, 농림어업 2.6% 순이었다. 건설업 대출은 전체 산업 대출의 5.5%를 차지했으며 농림어업 2.5%, 전기·가스·수도사업 1.0%, 광업 0.2% 등으로 나타났다.
김유나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다카이치 日총리의 급여 반납](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128/20251106518657.jpg
)
![[삶과문화] 지금 집이 없는 사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128/20251106518472.jpg
)
![RM이 말한 ‘K컬처의 힘’ : 다양성의 언어 [이지영의K컬처여행]](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4662.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