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대한민국은 더 이상 IT강국이 아니다

관련이슈 UC 르네상스

입력 : 2008-09-23 15:02:45 수정 : 2008-09-23 15:02:45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개방과 협력이 존재하지 않는 ICT산업의 미래와 전망 '대한민국은 더 이상 IT강국이 아니다.'라고 단언하는 것은 매국노같은 표현일까?
자극적이지 않은 솔직한 표현으로 둘러대자면, '미래 우리나라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비젼이 막혀있다'는 답답함이라 해야할까?

최근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 Economist Intelligence Unit)이 발표한 'IT산업 경쟁지수'에서 우리나라가 작년 세계 3위에서 올해 8위를 차지하였다는 근거를 들지 않아도, 웹 2.0, UCC, 유비쿼터스를 이해하고 준비하는 정부, 산업, 개인의 모습을 보아도 체감할 수 있다. 

세계는 개방을 통한 더 큰 협력으로 나아가는데, 우리나라만 유독 폐쇄를 통한 작은 경쟁으로만 가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리고 세계경제가 모두 어렵고 힘들텐데 유독 ICT인프라가 기가막히게 잘 깔린 우리나라의 경쟁력이 뚝뚝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직도 네이버의 검색시장 점유율은 높고 가파라 구글이 전 세계에서 침범하지 못한 IT강국인데, 왜 세계는 우리의 경쟁력을 폄하는 것일까? 그 이유를 국가, 시장 또는 산업, 개인으로 층위를 나누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은 영국의 '이코노미스트(경제주간지)' 계열 연구소이다.


우리나라 ICT 산업을 단정적으로 말하라면 협력은 간데없고 경쟁만 있다. 경쟁이라면 흔히들 자본주의 사회 체제에서 피할 수 없는 선한 것이며, 그 선이란 공산주의의 몰락으로 경험적으로 증명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경쟁이란 공정한 선의의 경쟁을 담보로 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못한 것이 또한 현실이다. 

나는 경쟁의 잘잘못 또는 피할 수 없는 경쟁으로 인한 역기능을 언급하고자 글을 쓴 것이 아니다. 
경쟁은 계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경쟁은 승자가 모든 이익을 독차지하는 방식이 아니라, 경쟁은 다양한 승자를 양산해낼 수 있는 체제로 가야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를 협력에 의한 공생의 경쟁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웹 2.0은 사람(people)에 관심의 중심을 둔다. 그것은 경쟁의 대상으로서 인간이 아닌, 경쟁의 도구로서 인간이 아닌, 협력자 또는 조력자로서의 인간을 뜻한다.

예를 들면 세계적으로 창의력이 높은 이미지 중심의 쇼셜 네트워크 사이트인 플리커(flickr)는 개인이 멋진 사진을 올려놓음으로 성공한 것이 아니라, 재미난 주제로 공동으로 작업하는 그룹(group)를 통해 성공하였다. 여기서 그룹은 이미지의 질과 사람의 관계를 새롭게 하는 장으로서 역할을 한다. 아마존(amazon)은 평범한 사람들의 댓글, 상품평을 신뢰하고 존중하는 피드백(Feedback)시스템으로 성공하였지, 좋은 상품을 직접 개발하고 판매하여 성공한 사이트가 아니다. 

이와 같은 사이트들의 도전은 경쟁을 통해 우수한 전문가, 승자만을 솎아 내는 시스템이 아니다. 오히려 덜 우수하고 모자르고 못난 평범한 사람들이 함께 승자의 기쁨을 나눌 수 있도록하는데 있다. 

이를 비즈니스적으로 해석하여 웹 2.0 사조라고 명명하였지만, 선진국들은 일찌감치 교육 2.0, 거버넌스 2.0, 선거 2.0, 기업 2.0 등을 표방하고 새로운 도전을 시도하고 있다.

도도한 경쟁은 단순히 초고속망을 얼마나 설치하고 휴대폰을 얼나마 많이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멈추어진 정보를 쉬지않고 흐르도록 표현의 자유와 정보의 접근성을 높이고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이 제작한 UCC를 활용하여 전문가못지않은 가치를 제공하는 플랫폼, 즉 사회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다. 

IT의 경쟁력이 인프라에서 콘텐츠의 활용 및 문화로 진화하는데 우리는 인프라만 설치하고는 아날로그적 사고로 숨통을 막고 있는지 오래이다. 네이버(naver)는 자사 편리한 사이트 안에서만 정보가 머물러 있어야 한다는 정책을 고수하고 정부는 인터넷의 천박한 악플과 근거없는 욕설이 난무한다는 부정적인 사실만 유포하기 바쁘다. 

그러나 왜 주민등록번호체제와 같이 개인을 분명하게 식별해낼 수 있는 사회안전시스템(?)도 없는 선진국들이 전세계에 생면부지의 인간들의 콘텐츠를 얻기 위해 참여, 공유, 개방의 시스템을 구축하는지를 깨달아야 할 것이다.

물론 초강대국 미국에는 아날로그적으로 사고하고 운영되는 거대기업들이 존재하지만, 시대의 방향과 물코는 구글, 아마존 등이 시도하는 '협력에 의한 공생의 경쟁'에 있음을 살펴야 한다. 경쟁에서 낙오한 사람들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작은 힘을 모아 크라우드 소싱이라는 거대한 새로운 원동력으로 삼는 웹 2.0 사조를 제대로 배워야 한다. 어설픈 미국의 신자본주의 또는 한철 지난 과거의 논리와 방식으로 미래를 준비할 때, 우리나라의 미래는 어찌될지 염려해보아야 한다. 


/ 강장묵 mooknc@naver.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