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분야에서 영업이익만으로는 이자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부실기업이 전체의 47.5%, 한계기업은 21.5%에 달한다는 조사가 나왔다. 건설업 분야에 드리운 암울한 그림자가 짙어지는 모습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이 30일 한국지역고용학회와 공동으로 발간한 계간지 ‘지역산업과 고용’을 보면 2023년 기준 전체 건설 외감기업(외부감사대상 법인기업)의 47.5%가 이자보상배율 1 미만으로 나타났다. 영업활동으로 번 돈으로 이자를 지급할 시 남은 돈이 없다는 의미다. 전체 외감기업의 21.5%는 외부의 도움 없이는 정상적 경영활동을 유지하기 어려운 한계기업이었다.
한계기업 비중은 비수도권에서 더 높았다. 수도권 건설사의 한계기업 비중은 2022년 17.6%에서 2023년 20.5%로 늘었는데 비수도권에서는 18.3%에서 22.7%로 증가했다.
건설업은 지난해 기준 국내총생산(GDP)의 약 5%를 차지하고, 전체 취업자의 약 7%(200만개)에 해당하는 일자리를 창출하는 핵심 산업이다. 그런데 최근 건설경기 침체와 청년층 유입 감소, 고령화 등으로 건설 고용 시장은 위기에 직면해있다.

취업자 수도 크게 쪼그라들고 있다. 강승복 건설근로자공제회 차장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5월 이후 건설업 취업자 수의 감소폭은 제조업보다 두드러졌고, 올해 4월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1% 줄었다. 그중에서도 20대 취업자 증가율은 33.1% 감소해 청년층 취업자에 직격탄으로 작용했다.
건설업 일자리는 건설수주액이 정점이었던 2022년 약 219만명을 기록하며 고점을 찍은 뒤 최근까지 200만명 이상을 유지했으나, 올해 200만명 이하로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영남권과 경기·인천 지역에서의 취업자 감소가 커 지방의 고용불안이 심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건설업의 일자리 상황이 쉽사리 나아지기 힘들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업에 영향을 주는 외부 요인이 여전히 불안정한 탓이다. 보고서는 “대외적 변수 불안정이 해소되지 않는 한 구조적으로 해결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스마트 시공기술 도입, 건설업 일자리의 질적 개선 등 장기적 대응책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