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주민들이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설립 당시 약속한 폐열지원사업 이행을 촉구하며 이틀째 센터 진입로를 봉쇄하면서 쓰레기 처리 차질이 현실화되고 있다.
동복리 주민들은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쓰레기 반입로에 설치한 농성 천막을 8일에도 유지한 채 차량 진입을 막아서고 있다. 주민들은 전날부터 제주도에 대한 폐열지원사업 약속 이행을 요구하는 농성을 벌이고 있다. 주민들은 무대를 설치하고 집회를 열어 ‘주민과의 약속 이행하라’, ‘센터 운영 중단하라’는 등 구호를 외치며 제주도의 입장 변화를 촉구했다.
이들이 제주도에 요구하고 있는 것은 농경지 폐열 지원사업 또는 대체 사업 추진이다. 센터 소각로에서 나오는 폐열을 비닐하우스 등 농경지에 지원하는 사업이다.
주민들은 “제주도가 2018년 혐오시설인 환경자원순환센터를 동복리에 설치하면서 폐열을 농경지에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지만, 경제성 부족 등을 이유로 사업을 추진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제주도는 신뢰할 수 없다”며 “약속이 이행되지 않으면 센터 운영 정당성도 사라질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제주도는 “당시 제주시장의 구두 약속은 있었지만, 정식 협약서나 회의록 등 공식 문서에서는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도는 2018년 주민 요구에 따라 타당성 조사를 했으나, 경제성이 낮다는 이유로 사업을 추진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대체 사업 추진 여부에 대해서도 공문서상 확인된 게 없다는 설명이다.
주민들의 실력 행사가 이틀째 이어지면서 제주도 전역에서 수거된 쓰레기의 반입도 중단됐다. 350∼400t에 달하는 일일 반입 쓰레기는 수거 차량이 34시간 대기하다 되돌아가는 상황이 반복되며 쌓여가고 있다.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는 도내 쓰레기의 90%를 처리하는 핵심 시설로, 가동 중단이 장기화될 경우 심각한 쓰레기 대란이 우려된다. 센터는 2019년 12월 말 준공했으며, 15만㎡의 면적에 242만㎥를 수용할 수 있는 매립시설과 하루 500t의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소각시설을 갖추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동복리 주민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상호 납득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 중”이라며 “주민들이 제시한 녹취 자료 등을 면밀히 검토해 해결 방안을 마련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민 측은 “센터 유치에 협조한 동복리 주민들의 희생이 더 이상 외면돼선 안 된다”며 “도민 전체를 위한 혐오시설을 수용한 지역에 대한 최소한의 보상과 약속 이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주도는 동복리 주민들이 한 달간 경찰에 집회신고를 하는 등 갈등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쓰레기 육지부 반출 등 비상 대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