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기구·컴퓨터도 없어 황당무계
결재시스템 無… 인주조차 없어”
이재명 대통령은 4일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첫 일성으로 용산 대통령실에 대해 “꼭 무덤 같다”고 말했다. 대통령 업무 수행을 위한 제반 설비와 인력이 제대로 남아 있지 않다는 점을 부각하며 국정 운영의 연속성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대통령실을 ‘무덤’에 빗대 “아무도 없다. 필기도구를 제공해줄 직원도, 컴퓨터도, 프린터도 없고 황당무계하다”고 말했다. 탄핵 이후 치러진 대선에서 당선된 만큼 인수위원회 없이 당장 정부를 출범해 업무를 시작해야 하는데 대통령실의 상황이 여의치 않다는 점을 꼬집은 것이다.

이 대통령은 인사와 관련해서도 “결재할 시스템이 없다”면서 “그래서 손으로 써서 지장을 찍어야 할지 (고민했다). 지장을 찍으려니 인주도 없다”며 재차 불만을 토로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행정의 연속성이 필요한데 지금 마치 소개작전을 수행한 전쟁지역 같다”며 “(대통령실에) 아무도, 아무것도 없다. 지금 완전히 새롭게 해야 할 상황”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윤석열정부 대통령실에 와 있던) 직업 공무원을 전원 (소속 부처로) 복귀시킨 것 같은데 곧바로 원대복귀를 명령해 제자리(대통령실)로 복귀시켜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인력 부족으로 인한 업무 수행 어려움을 호소하며 공무원 복귀를 지시한 것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저녁 브리핑에서 “저녁 9시 기준, 이재명 1호 명령인 파견 전입 공무원 복귀 명령 조치 결과 대부분 인원이 내일까지는 복귀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강 대변인은 앞선 대통령실에서 진행한 언론브리핑에서 “용산 대통령실이 업무 불능 상태”라며 “책상 위에 필기구나 종이조차 놓여 있지 않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정권 교체 과정에서 인수인계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전·현 정권 간에 충돌이 빚어진 사례는 과거에도 있었다. 특히 이재명정부와 유사하게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인수위 없이 출범한 문재인정권에서는 갈등의 정도가 심각했다. 문재인정부 대통령실에서 박근혜정부 대통령실 인사들이 미처 정리하지 못한 채 남기고 간 것으로 추정되는 캐비닛 속 문건들을 대중에 공개하면서 갈등이 정권을 넘어 정치권 전반으로까지 번진 사례가 있다. 당시 공개된 서류에는 정권 내 사안뿐 아니라 삼성그룹 경영권 승계 지원 방안이 담긴 문서 등도 포함돼 사회 여러 분야에서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