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간이식팀이 중국 최고 명문으로 꼽히는 칭화대의 초청을 받아 현지에서 생체 간이식을 집도했다. 한·중 간이식 학술회의에서 온라인으로 생중계된 이번 수술은 중국의 간이식 전문가 2만 명이 동시 시청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간이식팀(간이식·간담도외과 이승규·문덕복·정동환·윤영인 교수)은 지난달 11일 칭화대 부속 창궁병원에서 담도폐쇄증을 앓고 있는 생후 6개월의 중국 남아(리웨이·가명)에게 아버지의 간 일부를 떼어내 이식하는 생체 간이식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
리웨이는 선천성 담도폐쇄증으로 출생 직후 막힌 담관을 제거하고 장 일부를 떼어내 간과 소장을 연결해서 담즙을 소장으로 보내는 카사이 수술을 받았지만 시간이 갈수록 황달 증상이 더 심해졌다. 중국에서는 간이식 대부분이 뇌사자 간이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보니 생체 간이식 경험은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서울아산병원 간이식팀은 중국 칭화대로부터 리웨이의 생체 간이식 수술을 집도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지난달 9일 북경으로 향했다. 의료진이 리웨이의 상태를 보니 일주일 사이에도 없었던 복수가 빠르게 차오르고, 음낭에도 복수가 새어나와 음낭수종이 생기는 등 급박했다. 문제는 리웨이의 저체중과 불량한 영양상태였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소아 생체 간이식을 시행할 때는 환아의 체중을 8㎏까지 키운 후에 진행한다. 이식되는 부모의 간 크기가 환아의 복강 내 공간보다 너무 클 경우, 이식 후 배를 무리하게 닫게 돼 이식된 간이 복벽에 눌려 간이 괴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리웨이는 복수를 포함해 체중이 6kg 정도로 작았다.
그러나 서울아산병원 간이식팀은 리웨이의 상태가 급격히 악화돼 더 이상 간이식을 지체할 수 없다고 판단해 11일 오전 9시경부터 수술에 들어갔다. 9시간 가까이 진행된 수술은 창궁병원에서 열린 한·중 간이식 국제학술회의에서 온라인으로 실시간 생중계됐고, 중국 전역에서 간이식 전문가 2만여 명이 동시에 시청했다. 리웨이는 수술 3일째부터 입으로 우유를 빨아 먹는 등 빠른 회복을 보이며 지난달 27일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했다.
이승규 석좌교수는 “중국 최고 명문으로 손꼽히는 칭화대의 요청으로 생명이 위급한 현지 아이에게 생체 간이식으로 새 삶을 선사할 수 있게 돼 기쁘다. 이번 수술 모습이 중국 간이식 전문가들에게도 생중계되면서 한국 생체 간이식의 높은 수준을 중국 전역에 다시 한번 알리게 된 점도 보람이 크다. 앞으로도 우리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곳에 간이식 기술을 전수해 세계의 많은 환자들이 건강을 되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아산병원 간이식팀은 2025년 4월까지 누적 생체 간이식 건수만 7502례에 달한다. 뇌사자 간이식을 포함하면 9000명의 말기 간질환 환자에게 간이식으로 새 생명을 선사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