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론 평범한 15세 고등학생…"신사가 되는 것이 좋다" 소감
지난달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 절도 사건의 충격 속에서 현장을 포착한 사진 한장이 전 세계로 퍼져나가며 뜻밖의 호기심을 불러일으켰다.
조끼까지 갖춘 정장에 트렌치코트를 겹쳐 입은 남성이 한 손에 우산을 든 채 살짝 비켜 쓴 중절모(페도라) 챙 밑으로 카메라 너머를 응시하는 모습이 사진에 담겨 있었다.
셜록 홈스나 에르퀼 푸아로 같은 명탐정 캐릭터를 떠올리게 하는 사진 속 남성의 착장은 바로 옆 무장 경찰관의 엄중한 분위기와 크게 대비됐다.
특히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박물관이 털렸다'는 배경이 더해지면서 보는 사람들의 상상력을 크게 자극했다.
AP 통신이 10월 19일(현지시간) 발행한 사진의 당시 캡션은 "경찰이 19일 도난 사건 발생 후 루브르 박물관 접근을 통제하고 있다"는 한 줄뿐이어서 이 남성의 신원에 대해 아무런 설명이 없었다.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은 이 남성을 '페도라맨'으로 부르며 다양한 관측을 내놨다.
명탐정 캐릭터에게서 영감을 받은 프랑스의 형사라는 관측이 많았다.
팔로어 100만명을 거느린 한 엑스(X) 이용자는 "1940년대 누아르 영화에서 튀어나온 것 같은 저 남자는, 사실 루브르 보석 절도사건을 수사하는 프랑스 형사"라고 했다. 근거는 없었다.
넷플릭스가 이 남자 이야기를 시리즈로 제작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그냥 평범한 프랑스인이 패션 감각을 뽐낸 것이라는 관측도 있었다.
이 남자의 이미지가 AI로 생성된 가짜라는 분석까지 제기됐다.
뉴욕타임스(NYT) 등 주요 외신까지 페도라맨을 둘러싼 네티즌의 관심을 비중있게 보도했다. AP통신은 똑같은 사진을 '오늘의 사진', '이달의 사진' 등으로 선정하며 3차례나 더 발행했다.
그러나 기대와 달리 페도라맨이 루브르 절도사건을 해결해 1억달러 규모의 도난 보석을 찾아낼 확률은 희박해 보인다.
페도라맨의 정체는 파리 근처에 사는 평범한 15살 고등학생이라고 NYT 등 외신들이 11일 보도했다.
이름은 페드로 가르송 델보. 사진이 찍힌 순간은 델보의 엄마와 할아버지가 '왜 박물관 문을 닫았느냐'고 박물관 관계자들에게 물어보던 때라고 한다.
모처럼 루브르 박물관을 관람하러 갔는데 도난사건 탓에 박물관에 들어가지 못한 상황에서 문제의 사진이 찍혔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친구들에게서 자신이 소셜미디어 스타가 된 사실을 전해 듣고 "매우 놀랐다"는 델보는 주말, 휴일 혹은 박물과 방문 등 특별한 경우에 중절모를 쓴다고 밝혔다.
모자는 할머니에게서 물려받았다고 한다. 그는 NYT 인터뷰에서 "신사가 되는 것이 좋다. 멋지게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패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루브르 보석 절도사건 해결에 별다른 의지를 보이지 않은 채 "아버지와 할아버지처럼 외교관이 되고 싶다"고 밝혔다.
<연합>연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BBC의 굴욕](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128/20251111518027.jpg
)
![[데스크의 눈] 빚투에 대한 이중잣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0/11/10/128/20201110523430.jpg
)
![[오늘의 시선] 다카이치 ‘대만 파병’ 발언과 한국의 딜레마](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128/20251111517592.jpg
)
![[안보윤의어느날] 소통이 사라진 자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128/20251111517579.jpg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300/2025111150797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