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사법부, 단호한 조치로 ‘맞대응’
브라질 대법원이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브라질 대통령에게 전자발찌 착용, 야간 통행 금지 그리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이용 금지 등을 명령했다. 보우소나루는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현 대통령을 겨냥해 내란을 시도한 혐의 등으로 현재 재판을 받고 있다.
18일(현지시간) BBC 방송에 따르면 브라질 경찰은 이날 대법원의 명령을 받고 보우소나루의 자택과 사무실을 급습해 이 같은 사항들을 전달하고 시행했다. 보우소나루는 “법원의 명령은 최악의 굴욕에 해당한다”며 “나는 브라질을 떠나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고 항의했다.

사법부의 단호한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노골적인 내정 간섭에 대응하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보우소나루는 ‘남미의 트럼프’라고 불릴 만큼 트럼프와 절친한 사이다. 보우소나루가 내란 혐의로 법정에 서게 되자 트럼프는 이를 ‘마녀사냥’으로 규정하며 브라질 정부에 모든 수사의 중단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보우소나루가 계속해서 부당한 대우를 받는 경우 브라질 상품에 50%라는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했다.
이에 현 대통령 룰라는 “브라질의 민주주의 수호는 브라질 국민의 문제”라며 “우리는 명백한 주권 국가”라고 맞받았다. 이어 “우리는 누구의 간섭이나 지시도 받지 않을 것”이라며 “법 위에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트럼프를 겨냥해 “미국 대통령은 세계의 황제가 아니다”라는 충고도 했다.
보우소나루는 2019년 1월부터 2023년 1월까지 4년간 브라질 대통령을 지냈다. 2022년 대선에서 경쟁자인 룰라에게 패한 그는 선거 결과에 불복했다. 이듬해 당선인 룰라가 대통령으로 취임한 직후 보우소나루 지지자 수천명이 수도 브라질리아의 연방정부 건물을 습격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2021년 1월6일 트럼프 지지자들이 미 대선 결과에 불복하며 연방의회 의사당에 난입한 이른바 ‘1·6 사태’를 연상케 한다. 브라질 검찰은 이 같은 집단행동 배후에 보우소나루가 있는 것으로 의심하고 수사를 벌인 끝에 그를 내란 등 혐의로 법정에 세웠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