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한국, 국제핵융합로에 수소저장용기 추가 공급

입력 : 2025-07-19 08:31:23 수정 : 2025-07-19 08:31:22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핵융합 발전을 성공시키기 위해 국제사회가 힘을 모은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에 한국이 중성입자빔용 수소저장용기(NBSB)를 추가 공급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이 체결됐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핵융합연)은 ITER 국제기구와 한국사업단이 17일(현지시간) 프랑스 카다라쉬에서 중성입자빔용 수소저장용기에 대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ITER 국제기구와 한국사업단의 중성입자빔용 수소저장용기 업무협약식.

이번 협약은 올해 3월 한국이 삼중수소 저장·공급시스템(SDS) 조달 약정을 체결한 데 이어 ITER 연료주기 분야의 추가 협력이다.

 

핵융합연은 “이번 협력은 ITER 국제기구가 한국의 기술력과 이행 성과를 인정해 요청한 사업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며 “한국이 추가 협약을 체결할 수 있던 중요한 배경은 한국의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에서 중성입자빔 가열 장치를 활용해 플라즈마 이온 온도 1억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기술 신뢰성을 입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중성입자빔용 수소저장용기는 ITER의 플라즈마 가열 장치인 중성입자빔 시스템에 수소 동위원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핵심 설비다. 수소를 금속에 흡착시켜 안전하게 저장하고 필요할 때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장치는 중수소·삼중수소 연료를 저장·공급하는 ‘삼중수소 저장·공급시스템(SDS)’과 연계돼 운용되며, ITER 연료주기 시스템의 안정적 작동에 필수적이다.

 

한국은 중성입자빔용 수소저장용기의 설계부터 제작, 시험 및 운송 등 전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ITER 기구로부터 총 1100만 유로(약 170억원) 규모의 사업을 수주해 향후 5년간 이를 추진할 예정이다.

 

핵융합연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한국은 핵융합 연료 저장·공급 전반에 걸친 기술 역량을 한층 강화하고, 연료주기 분야의 국제적 위상 또한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런 기반 기술은 ITER 이후 미래 핵융합 발전소에서도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핵심 기술로, 한국이 핵융합 에너지 선도 국가로 도약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