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시설 관리부터 SW개발까지… 스마트팜엔 일자리가 ‘주렁주렁’ [농축산업은 일자리의 보고]

입력 : 2019-09-06 05:00:00 수정 : 2019-09-05 20:40:3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1회)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스마트팜 / ICT 접목… 생육 환경 원격·자동 제어 / 2022년까지 스마트축사 5750호 보급 / 생산성 39% 높여… 경험·노동집약 탈피 / 빅데이터 분석 등 융·복합 일자리 창출 / “IT 친숙한 젊은층엔 새로운 기회 영역”

농업·농촌이 ‘일자리의 보고(寶庫)’로 주목 받고 있다. 지난해 농림어업 취업자는 134만명. 전년(127만9000명)보다 6만2000명(4.8%) 늘었다. 산업별 취업자 증감으로 따지면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12만5000명) 다음으로 많다. 가공식품·외식업 등 연관 2·3차 산업으로까지 넓혀보면 취업 시장에서 농축산업의 존재감은 더 묵직하다. 지난해 기준 전체 취업자(2682만명)의 18.2%(488만여명)가 농식품 및 연관 분야에서 일한다.

하지만 농업·농촌 일자리와 고용 창출력을 의심하는 시선은 여전하다. 농림업 분야 취업자가 는 것은 정부의 단기 일자리 공급에 따른 ‘반짝 효과’라는 비판이 대표적이다. 4차 산업혁명 여파로 앞으로 농업 부문 일자리는 줄 것이라는 전망이 팽배하다. 과연 그럴까. 세계일보는 1차 농산물 생산에서 벗어나 2차, 3차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해 신성장동력을 만들고 고용 창출에도 기여하는 농업·농촌 혁신의 현장을 4회에 걸쳐 소개한다.

◆스마트팜은 4차 산업혁명 시대 농업·농촌의 혁신 아이콘

최근 경기 용인시 외곽에서 산란계 30만마리를 키우는 ‘다원팜’. 스마트팜 장비·데이터분석 컨설팅 업체인 호현에프앤씨의 양동웅 컨설팅2본부장이 최의용 기술기획팀 주임과 함께 이곳을 찾았다. 서준식 다원팜 농장장을 상대로 축사 환기시설과 급이량, 달걀 생산량 등을 체크한 양 본부장은 “전반적으로 하우징이 잘돼 있고 관리를 워낙 꼼꼼하게 잘한다”며 “보다 정밀한 질병·사양·경영 관리를 위한 선별기, 환경관리기 등은 새로 도입해야 할 것 같다”고 조언했다.

이들의 농장 방문은 축산ICT(정보통신기술) 장비 도입을 위한 무료 컨설팅을 위해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축사 5750호 보급을 목표로 축산ICT 융복합 시설·장비 도입 지원 및 맞춤형 컨설팅 시범사업을 펼치고 있다. 축산ICT 장비 도입은 스마트팜의 일환이다. 스마트팜은 축사·시설원예에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 등 ICT를 융복합해 최적의 생육환경을 원격·자동으로 제어하는 농장을 말한다.

스마트팜은 노동집약 구조의 농축산업의 고도화와 청년층의 농업·농촌 유입, 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농식품부는 지난 7월 말 발표한 ‘농식품 일자리 창출 10대 유망 분야’에서 스마트 농축산업을 첫 번째로 꼽았다. 스마트팜은 고용노동비를 21% 절감하고 생산량은 31%, 생산성은 39%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진다. 양계업 경력 18년의 서 농장장은 “예전엔 닭 10만마리당 6∼7명의 인부가 필요했는데 지금은 1명으로 커버할 수 있다”고 귀띔했다.

스마트팜은 청년층의 농업·농촌 유입도 기대할 수 있다. 20·30세대는 어릴 적부터 ICT 기기와 친숙해 자본만 허락될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스마트팜을 경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부터 전북농식품인력개발원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에서 스마트팜 관련 교육을 받고 있는 현경훈(29)씨가 그런 경우다. 일본 와세다대에서 경영학을 전공한 현씨는 “스마트팜은 기술적으로나 인구구조 변화 측면에서 농업이 질적으로 도약하는 트리거(방아쇠)”라며 “더 이상 경험·노동 집약적이지 않은 농업은 우리들에게도 기회의 영역”이라고 단언했다.

◆ICT에 친숙한 20·30세대, 농촌에서 희망찬 미래를 꿈꾸다

그런데 스마트팜과 고용 창출은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스마트팜은 기본적으로 농업시설을 자동화해 노동력은 줄이고 생산성은 높인다는 개념이다. 농축업의 고도화와 일부 청년층의 유입은 기대할 수 있어도 가시적인 일자리 창출은 요원해 보인다. 양 본부장과 동행한 최 주임은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최 주임은 스마트축사 전문 컨설턴트로도 활동 중인 양 본부장을 돕는 컨설팅 보조원이다. 그는 “대학 때 해외 정보기술(IT) 업체에서 실습하게 됐는데 국내에서도 비슷한 직업이 있다는 것을 알고 반가웠다”며 “대부분 사료회사 취업을 목표 하는 동기들과는 다른 길을 가는 셈”이라고 말했다.

스마트축사는 경영자 이외에 경영관리사, ICT 장비 엔지니어, 소프트웨어 개발자, 스마트팜 설계사, 전문 컨설턴트 등 다양한 직업을 아우를 수 있다. 시설원예 쪽도 마찬가지. 농식품부 농업정책과 관계자는 “농장경영자 이외에 재배사, 시설관리사, 빅데이터 분석·컨설팅·가공 등의 다양한 융복합 일자리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경남농업기술원에서 스마트팜 이론교육 및 교육형 실습을 마치고 경북 상주시 한 스마트팜(딸기)에서 근무 중인 김창섭(26)씨는 “전남·북과 경남 3곳의 스마트팜 청년창업보육센터 1기 교육생 60명이 모두 창업자가 될 필요는 없을 것”이라며 “스마트팜 보육센터는 스마트 영농인 이외 전반적인 인력풀을 양성하는 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양 본부장도 스마트팜에서 다양한 신종 직업을 찾을 수 있는 만큼 젊은 층의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그는 “현재 약 90명이 활동 중인 스마트축사 전문 컨설턴트는 관련 ICT 교육과정을 이수한 수의사와 사양사, 경영관리사 출신들”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들은 경험은 많지만 ICT 설비에 대한 이해와 빅데이터 분석 능력은 젊은 사람들보다 뒤처질 수밖에 없다”며 “스마트팜이 가까운 미래 일자리 보고라고 불릴 수 있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송민섭 기자 stsong@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