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개항 이후 인천을 만든 사람들의 일상 엿보기

입력 : 2019-05-21 02:00:00 수정 : 2019-05-20 21:04:4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메이드 인(人) 인천’ 특별전 / 2019년 ‘인천민속문화의 해’ 맞아 개최 / 산업도시로 성장하는 근대화 과정 조명 / 국립민속박물관서 8월18일까지 선보여 / ‘기회의 땅’ 불구 노동운동 본격 싹튼 곳 / 용접 마스크 등 유물·사진·영상물 전시 / 공단 근로자 22명의 삶도 재구성 눈길

인천은 옛날부터 ‘인후지지’(咽喉之地·목구멍과 같은 땅)라 불렸던 서울로 향하는 중요한 길목이었다. 그로 인해 문물의 들고 나감이 활발했다. 조선이 세상을 향한 문을 열 수밖에 없었던 19세기 말 이후의 사정도 다르지 않았다. 외국인 거리가 가장 먼저 생겼고, 국내에서 생산된 물품들이 외국으로 나가는 출발점이었다.

이런 이유로 인천은 ‘최고’(最古), ‘최초’라는 수식어가 자연스럽다. ‘인천민속문화의 해’를 맞아 국립민속박물관이 2017년 진행한 학술조사 ‘인천 공단과 노동자의 생활문화’를 토대로 여는 특별전 ‘메이드 인(人) 인천’이 제시하는 키워드다.

1920년대의 인천항 모습. 인천은 서울로 향하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어 외국의 문물이 유입되는 곳이었다.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최초, 최고의 도시’

1883년 개항 이후 인천에는 일본, 중국 등 각국의 조계(租界·외국인이 거주하며 치외법권을 누릴 수 있도록 설정한 구역)가 설치되었다. 조계에는 공원, 사교클럽, 종교시설 등이 들어섰다. 서양식 건물인 양관(洋館)의 설치도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세창양행 사택과 존스턴의 별장이 유명했다고 한다.

박래품(舶來品)은 넘쳐났다. 서양식 의류, 성냥, 남포등, 축음기, 전화기, 활동사진, 시계 등 서구의 신식물품이 인천을 통해 조선으로 유입됐다. 서양인들의 외모만큼이나 조선인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던 이런 물품들은 타운센트 상회, 홈링거 상회 등 무역상사를 통해 들어왔다. 물론 이런 흐름은 단순히 물품의 거래로만 머물지 않았다. 제물포구락부의 클럽문화, 대불호텔로 상징되는 소비문화, 이제는 일상이 된 커피 문화가 함께 유입됐다.

신문물의 수입과 확산은 통신, 교통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1899년 9월 18일 인천과 노량진 사이에 놓인 33.2㎞의 경인철도는 최초의 철도였다. 이듬해에는 서울역까지 전 구간이 개통되었는데, 당시 미국 브룩스사의 모걸(mogul)형 탱크 기관차로 1시간 30분이 걸렸다. 1902년에는 서울, 인천 간 시외전화가 설치되었고 1910년에는 육지와 선박을 잇는 무선전신도 개통되었다.

새한자동차 부평공장에서는 ‘제미니’라는 이름의 자동차가 생산됐다.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노동운동이 태동하다

서울의 관문이라는 지리적 이점은 인천이 산업도시로 성장하는 토대였고, 기반시설을 갖추기 위해 대규모 간척이 진행돼 인천은 근대문물의 유입지에서 공산품의 생산지로 변화해 갔다.

1906년 인천항 앞 갯벌을 매립해 철로연장 등 인천항의 설비를 확장하는 6년 계획의 공사가 시작됐다. 1910년대에는 부두, 항만 등의 건설을 위한 대규모 매립공사가 진행됐다. 해방 이후에도 이런 흐름은 이어졌다. 1960년대 후반부터 염전과 갯벌을 메웠다. 간척지는 주로 산업용지와 주거용지로 활용됐다. 주안공단, 남동공단,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신도시 등이 모두 간척지 위에 세워졌다.

산업도시 인천에서 정미업은 개항기의 대표적인 산업이었고, 1917년에는 조선인촌주식회사에서 국내 최초로 성냥을 생산했다. 1930년대에는 일제의 군수공장인 ‘조병창’이 세워져 군수공업도시의 면모를 갖췄다. 1960년대 수출주도형 경제개발계획이 추진되었을 때 인천에는 여러 개의 공단이 들어서 경공업, 중화학공업, 첨단산업 등을 담당하는 기업들이 넘쳐났다.

인천을 통해 조선으로 들어온 박래품은 조선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이런 이유로 인천은 ‘기회의 땅’이었으나 동시에 열악한 근로 조건 아래서 노동운동이 본격적으로 싹트는 곳이 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 인천항만 축조공사에는 형무소에 수감되어 있던 독립운동가들이 동원되기도 했는데 김구 선생도 그중의 한 명이었다. 각종 공장에서 일한 사람들은 값싼 임금, 민족 차별, 비인간적 대우에 시달리며 식민지의 현실을 깨달았고, 1920년대부터 노동운동을 본격화했다. 근대화, 산업화의 과정에서도 노동자들의 희생이 따랐다.

박물관은 공단에서 일했던 22명의 삶을 재구성해 보여준다. 제미니 자동차, 삼익피아노, 용접마스크 등의 유물과 사진자료, 인터뷰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전시회는 바닷바람에 펄럭이는 땀이 밴 작업복을 이용한 성효숙 작가의 ‘바닷바람에 걸린 작업복’으로 마무리한다.

전시회는 8월까지 이어진다. 1947년 강화도의 선두포 등을 조사하고 1951년 ‘한국인과 그들의 문화’라는 책을 낸 미국인 인류학자 코닐리어스 오스굿의 수집품을 보여주는 ‘인류학자 오스굿의 시선, 강화 선두포’도 함께 감상할 수 있다.

 

강구열 기자 river910@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