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팔도 비빔면'은 어떻게 '괄도네넴띤' 됐나…'야민정음' 뭐길래?

입력 : 2019-02-19 17:40:24 수정 : 2019-02-19 18:45:1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팔도가 '팔도비빔면' 출시 35주년 기념 한정판 '괄도네넴띤'(사진)을 출시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온라인 신조어 '야민정음'에서 착안한 괄도네넴띤이라는 제품명에 누리꾼들의 관심이 쏠리되고 있다.

팔도는 '팔도비빔면' 출시 35주년을 맞아 비빔면의 매운 맛을 5배 강화한 한정판 괄도네넴띤을 출시한다고 19일 밝혔다. 

괄도네넴띤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젊은이들이 많이 사용하는 야민정음을 활용한 '팔도비빔면' 표기에서 따온 이름인데, 온라인 별칭이 실제 제품명이 된 셈이다. 

예컨대 야민정음에서는 '멍멍이'를 '댕댕이'로 표기한다. 기존 단어를 비슷한 모양의 다른 글자로 변형하는 표기법이다. '댕'과 '멍', '귀'와 '커'가 비슷한 모양의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돼 시각적으로 닮았다는 점에서 착안한 신조어다. '귀엽다'는 야민정음에서 ‘커엽다’로 쓰인다.  

모양이 헷갈릴만한 자음과 모음을 섞어 쓰기도 한다.(굿 ↔ 긋, 포 ↔ 쪼) 

글자 2개를 합치거나(스시 ↔ 씌,복복 ↔ 뾲) , 방향을 90도로 뒤집어 읽는 것(동 ↔ 내, 뚜또 ↔ 바버, 어버이 ↔ 오또으, 으또오) 도 야민정음에 포함된다.

야민정음은 온라인 커뮤니티인 디씨인사이드의 게시판 '야구 갤러리'에서 2014년부터 유행하기 시작했다는 설이 있다. 그래서 '야구갤러리+훈민정음'을 줄여 이런 이름으로 불린다.

야민정음은 10~20대를 중심으로 트위터와 카카오톡 등 SNS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야민정음 예시

팔도에 따르면 괄도네넴띤의 매운 정도를 표현하는 스코빌 지수는 2652SHU(Scoville Heat Unit)다. 팔도비빔면은 357SHU다.

스코빌 지수는 고추과 식물의 매운 맛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척도다. 

지난해 9월 라면 업계가 이 지수를 근거로 발표한 국내 매운 라면 'TOP10' 중 팔도 '틈새라면 빨개떡'이 9413SHU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뒤이어 삼양식품의 '핵붉닭 볶음면'이 8706SHU로 2위에 올랐다. 

오뚜기의 '열라면'이 5013SHU로 3위를 차지했다. 매운 라면으로 유명한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은 4404SHU로 5위였다. 팔도의 '쫄 비빔면'은 2769SHU를 기록해 10위에 안착했다. 


지난해 9월 기준 국내 매운라면 'TOP10'

한편 괄도네넴띤은 500만개 한정 판매되며, 일부 온라인몰을 통해서도 구매할 수 있다.

팔도 관계자는 "괄도네넴띤은 비빔면의 감칠 맛과 기분 좋은 매운 맛을 함께 경험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며 "앞으로 비빔면 한정판 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해 계절과 연령을 뛰어넘는 국민 비빔라면으로 자리매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장혜원 온라인 뉴스 기자 hodujang@segye.com
사진=팔도·채널A·온라인 커뮤니티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