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겨레의 깊은 기쁨”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필요하다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18-06-23 00:00:38 수정 : 2018-06-23 00:00:3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남북이 어제 금강산에서 적십자회담을 열어 오는 8월20일부터 26까지 7일간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갖기로 합의했다. 이산가족 상봉은 2015년 10월 이후 2년 10개월 만이다. 상봉 대상자는 남북 100명씩이다. 북측 단장인 박용일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은 회담에서 “역사의 한 페이지를 새로 쓴다는 자세를 가지고 회담에 임한다면 우리가 오늘 겨레에게 깊은 기쁨을 안겨주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나 합의 내용이 과거 수준에 그쳐 여간 아쉽지가 않다. 참석 규모도 그렇거니와 다음 상봉 약속도 잡지 못했다.

남북 정상은 4·27 판문점 선언을 통해 “남과 북은 남북관계의 전면적이며 획기적인 개선과 발전을 이룩함으로써 끊어진 민족의 혈맥을 잇고 공동번영과 자주통일의 미래를 앞당겨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 약속이 하루빨리 실현돼 남북이 자유롭게 오가는 날이 오기를 가장 고대하는 사람들은 이산가족들이다. 생이별의 고통을 65년간이나 견디며 하루하루를 버텨온 그들의 가슴은 새카맣게 타버린 지 오래고 눈물도 말라 버렸다. 이들에겐 시간도 얼마 남지 않았다.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이산가족 생존자는 5만6000여명에 불과하다. 그나마 80세 이상 고령이 63%를 넘는다.

남북 사이에서 피를 나눈 부모형제가 다시 만나 끊어진 핏줄을 잇는 것만큼 더 시급하고 절박한 것은 없다. 더 이상 묻고 따질 것도 없다. 이산가족의 슬픔을 나 몰라라 하는 것은 큰 죄를 짓는 일이다. 남북 정상이 포옹하고 북·미 정상이 두 손을 잡는 마당에 남북의 가족이 만나지 못할 까닭이 없다. 이산의 한을 풀어주는 것은 남북 정부 모두의 도덕적 책무다.

이산가족 상봉은 1985년 고향방문단 교환 이래 모두 21차례의 대면 상봉과 7번의 화상 상봉이 있었고 편지도 주고받았다. 그러나 상봉 인원과 횟수가 제한돼 있어 이산가족의 고통을 가중시켰다. 이번 상봉 규모도 100명씩에 그쳤다. 이런 방식으로는 매일 100명씩 만난다고 해도 1년 6개월 이상 걸린다. 고령의 모든 이산가족이 살아생전에 가족을 만나는 것은 불가능하다. 상봉이 단순히 전시성 행사로 끝나서는 안 된다. 더 늦기 전에 이산의 한을 풀어주려면 규모를 대폭 확대하고 정례화해야 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
  • 오마이걸 유아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