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일상톡톡 플러스] 새로운 수입, 충분한 저축, 의지할 사람 없는 7080

입력 : 2018-06-23 05:00:00 수정 : 2018-06-22 08:27:55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A씨는 "힘들게 고생해서 번 돈 자식들에게 다 쓰고 노년에 사실상 버림받는 부모들이 적지 않다"며 "자식에게 올인하지 말고 노후준비 차원에서 여윳돈 남겨둬야 한다. 예전처럼 부모 모시며 사는 자식 요샌 드물다"고 말했다.

B씨는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은 자녀가 성인이 되면 스스로 자립하는 편이지만, 우리나라는 있는 돈 없는 돈 다 자식에게 퍼주기 때문에 노인 빈곤이 심각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C씨는 "노후에 자식이 부모를 부양하지 않는 한 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줄 필요가 없다"며 "아이가 자라나 성인이 됐으면 스스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전했다.

D씨는 "누가 보면 노인들만 빈곤층 되는 줄 알겠다"며 "장년, 중년, 청년 등 세대를 떠나 대부분 빈곤층으로 추락하고 있다"고 밝혔다.

E씨는 "사실상 노동력을 상실한 노년층에게 소득은 정부에서 제공하는 각종 연/기금뿐"이라며 "노인에게는 사실상 미래소득이 존재하기 않기에 청년, 중년층이 내는 세금을 이들에게 지원해줄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F씨는 "노령연금은 어려운 사람들에게 더 많이 돌아가야 한다"며 "재산 빼돌린 이들이 받아서는 안 된다. 정부에서 연/기금 관리 감독 더 철저하게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G씨는 "노후 문제를 논할 때 자식들의 의무를 거론하기 전에 국가의 역할부터 생각해봐야 한다"며 "노후 복지는 더이상 자식들의 의무가 아닌 국가의 책무"라고 힘주어 말했다.

H씨는 "급속한 노령화는 우리사회의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라며 "시간이 지날수록 노인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노후 준비 안 된 이들에게 장수는 재앙"이라고 설명했다.

70대 이상 노인 가계가 상당수가 빈곤층으로 추락하고 있다.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이다.

올 들어 임시·일용직 일자리가 대거 사라지는 등 고용여건이 악화하자 이들이 빈곤으로 내몰리는 속도가 더욱 가팔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실업급여를 받은 70세 이상은 30% 가까이 늘어났다.

정부는 올해 1분기에 소득 5분위(5구간) 기준으로 하위 20%(1분위) 가구의 소득이 크게 감소한 원인으로 고령 가구주 비중이 급증한 점을 지목하고 있다.

1분위 가구는 명목소득이 작년 동기보다 8.0% 줄었고, 이 가운데 근로소득은 13.3% 감소했다. 이는 2003년 통계 집계 이래 최대 하락폭이다.

통계청 미시데이터 분석 결과, 1분위 가구주 중 70세 이상 비중은 지난 2∼3년간 30%대 중반을 오가다 올해 1분기 갑자기 43.2%로 급등했다.

70세 이상 비중은 1년 만에 6.5%포인트 급등해 40%를 돌파한 반면 50대 이하는 35.8%, 60대는 21.0%로 각각 2.6%포인트, 3.9%포인트씩 떨어졌다.

소득 1분위 2인 이상 가구 명목소득은 올해 1분기 월평균 128만6700원이다. 2013년 1분기(128만9806원) 이후 5년 만에 처음 120만원대로 추락했다.

이는 올해 2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284만7097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451만9202원의 3분의 1이 안 되는 수준이다.

◆70대 이상 노인 상당수 빈곤층으로 추락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차상위계층 등 빈곤층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새로운 수입이나 충분한 저축, 의지할 사람이 없는 노인을 가리키는 이른바 '하류노인'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

하류노인은 일본의 빈곤생활자를 지원하는 비영리단체 대표인 후지타 다카노리가 제시한 개념으로, 정부가 지원하는 기초생활 수급 정도 소득으로 사는 고령자를 뜻한다.

1분기 소득 1분위 가계의 월평균 명목소득에서 이전소득 비중은 46.4%로 근로소득(36.8%)보다 많았다. 이전소득은 생산활동을 하지 않아도 정부가 무상으로 보조하는 소득 등을 뜻한다.

정부는 1분위에 가구주가 70대 이상인 노인 가구가 크게 늘어난 배경으로 이들이 많이 종사하는 도소매·음식숙박업 임시·일용직 일자리가 급감한 점을 들었다.

도소매·음식숙박 업황 위축과 고용 악화로 무직으로 전락하거나 일하는 시간이 감소하며 근로소득이 확 줄어든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임시일용직에서도 괜찮은 임시직이 줄고, 일용직이 대거 늘어나는 등 고용상황이 악화했을 것으로 정부는 분석했다.

이로 인해 차하위계층인 소득2분위(하위 20∼40%)나 중위계층인 소득3분위(하위 40∼60%)에 있던 70대 이상 노인 가계가 대거 1분위로 추락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1분기 임시·일용직은 607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18만1000명 감소했다. 유럽발 재정위기 여파에 시달리던 2013년 1분기(25만5000명) 이후 5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韓 66∼75세 상대적 빈곤율, OECD 회원국 평균의 4배

노인들이 악화하는 고용상황 속 '약한고리'라는 점은 다른 지표로도 확인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1분기 65세 이상 실업률은 7.1%로 1년 전보다 1% 포인트 높아졌다. 이는 통계청이 현재 기준의 자료를 제공하는 1999년 3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60세 이상 실업률은 5.4%로 2010년 1분기 5.8%를 기록한 후 8년 만에 최고였다.

실업 지표가 상승하는 가운데 실업급여를 받는 노인들도 최근 눈에 띄게 증가했다. 고용행정통계에 따르면 1분기 실업급여를 받은 70세 이상은 3303명으로 작년 1분기(2552명)보다 29.4% 늘었다.

실업급여를 받은 60∼69세는 같은 기간 10만2045명에서 12만1618명으로 19.2% 증가했다.

나머지 연령대는 실업급여를 받은 이들이 감소하거나 증가율이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 66∼75세 상대적 빈곤율은 42.7%, 76세 이상 빈곤율은 60.2%로 비교 대상 38개 회원국 중 압도적 1위다. 상대적 빈곤율은 중위소득 50% 이하인 계층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한국의 66∼75세 상대적 빈곤율은 OECD 회원국 평균 10.6%의 4배다. 76세 이상은 OECD 회원국 평균 14.4%의 4.2배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 14.4%와 비교하면 66∼75세는 3배, 76세 이상은 4.2배로 훨씬 높았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
  • 이다희 '깜찍한 볼하트'
  • 뉴진스 다니엘 '심쿵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