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실질적 권한 장관급 ‘교육 소통령’

관련이슈 2018.6.13 지방선거

입력 : 2018-06-07 19:18:50 수정 : 2018-06-07 22:52:1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교육감 선거 왜 중요한가 / 대학 등 제외한 교육 전 분야 총괄 / 막대한 영향력에도 단체장보다 홀대 / 10명 중 5명 지지후보 없거나 몰라 / 자질·교육철학 꼼꼼한 점검 필요해
이번 서울시교육감 선거에 출마한 다음 후보 중 누구에게 투표하시겠습니까. ‘없다’ 32.9%, ‘모르겠다’ 19.2%.

전국 17개 시·도교육감 선거를 일주일 앞둔 지난 6일 KBS·MBC·SBS 방송 3사가 발표한 공동 여론조사 결과, 서울시민 10명 중 5명가량이 ‘지지후보가 없거나 모르겠다’고 답했다. 이런 응답자가 전체의 50% 이상인 곳은 17개 시·도 중 12곳이나 됐다. 아울러 거의 대부분 시·도 유권자는 광역단체장 선거에 비해 교육감 선거에 별로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로 세 번째 전국단위 직선제로 치러지는 교육감 선거가 ‘깜깜이 선거’로 불리는 이유다.

하지만 교육감 선거를 외면하거나 홀대해서는 안 된다. 지역별 유·초·중·고 교육환경에 미치는 영향력이 절대적인 인물을 뽑는 절차이기 때문이다.

시·도교육청 수장인 교육감은 차관급이지만 실질적인 권한은 웬만한 장관을 능가한다. 대학 등 고등교육 분야를 빼고 4년 임기(연임에 성공할 경우 최대 12년) 동안 유치원과 초등·중등학교의 교육정책을 총괄해 ‘교육 소통령’으로도 불린다. ‘교육부 장관보다 교육감이 훨씬 할 만하다’는 말까지 나온다. 전국 교육감들이 인사권을 행사하는 공립교원만 37만명이 넘고, 다루는 예산은 연간 60조원에 달한다.

유·초·중·고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물론 유권자들이 지역사회의 교육역량 강화와 환경 개선을 원한다면 교육감을 잘 뽑아야 한다는 얘기다. 따라서 유권자들은 방송 토론회나 선거공보 등을 통해 각 후보의 자질과 교육철학, 비전, 공약 타당성 등을 꼼꼼하게 살피고 비교한 뒤 투표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이번 교육감 선거의 최대 관전포인트는 진보·보수 후보 간 성적표다. 양 진영 간 대리전 양상을 보인 4년 전 선거에서는 ‘진보의 압승’으로 끝났다. 진보성향 후보가 무려 13명이 당선된 반면 보수진영은 4명에 그쳤다.

이강은 기자 ke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