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DMZ내 국군유해 1만·유엔군 2000구 추정…미확인 지뢰지대부터 제거해야 발굴 탄력

입력 : 2018-06-06 19:13:30 수정 : 2018-06-06 22:50:5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DMZ 전사자 유해수습 추진 의미 / 국군 1만·유엔군 2000여구 유해 추정 / 北에 묻힌 미군 유해 발굴 재개도 관심 / 국가보훈발전계획에 의지 반영 알려져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제63회 현충일 추념사에서 “남북관계가 개선되면 비무장지대(DMZ) 유해 발굴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힌 것은 나라를 위해 희생한 사람들을 국가가 끝까지 챙기겠다는 의미다. 더불어 분단의 상징인 DMZ를 평화지대로 전환해 한반도에 실질적인 평화를 정착시키겠다는 복안을 드러낸 것으로도 풀이된다. 국가보훈처가 준비 중인 국가보훈발전계획(2018∼2022)에도 이런 의지가 반영될 것으로 알려졌다.

DMZ 내 전사자 유해 발굴이 실현되면 나라를 위해 희생하고도 60여년 동안 방치됐던 전사자들을 유족 품으로 돌려보낼 수 있게 된다. 정부는 2000년부터 진행된 6·25전쟁 전사자 유해 발굴을 통해 1만여구의 유해를 찾아냈으나 DMZ 남쪽에 국한되어 있었다. 군사분계선(MDL)을 포함한 DMZ 일대는 1953년 7월 정전협정 체결 직전까지 중국군·북한군과 유엔군·한국군 간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지만 남북 대치 국면으로 유해 발굴을 시도하지 못했다.

군 당국은 DMZ에 국군 1만여명, 유엔군 2000여명이 묻혀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실제로 2006년 5월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DMZ 남측 지역에서 감시초소(GP) 보급로 공사 도중 국군 전사자 유해 1구가 발견된 바 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북한 지역 전투에 참가한 6·25 참전용사들의 증언을 녹취하고 이를 토대로 전사자 유해가 묻혀있을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선정하는 등 DMZ와 북한 지역 유해 발굴 준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DMZ에 존재하는 지뢰가 걸림돌이다. 지뢰 제거가 유해 발굴에 선행돼야 한다는 의미다.

북·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6·25전쟁에 참전했다가 북한 지역에서 전사한 미군 유해 발굴이 재개될지 여부도 관심거리다. 6·25전쟁에서 전사했지만 가족 품으로 돌아가지 못한 미군 유해 7700여구 중 북한에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해는 5000여구에 달한다. 미국과 북한은 1996~2005년 평안북도 운산과 함경남도 장진호 일대에서 미군 유해 발굴작업을 진행해 449구를 수습했다. 이러한 노력은 잠시였고,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이 진전되면서 이후 10여년 동안 발굴은 중단됐다.

전쟁터에서 전사한 미군 장병의 유해를 찾는 것은 미국 정부의 대외 정책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북한으로서도 인도주의 원칙을 앞세우면 정치적 부담을 키우지 않으면서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촉진할 수 있다.

북·미 정상회담에서 북한 비핵화 합의가 도출된 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뜻을 모으면 북한 내 미군 유해 발굴작업이 급물살을 탈 가능성도 제기된다. 북한 내 미군 전사자 유해 발굴작업이 재개되면 북한 지역에서 전사한 국군 전사자 유해가 미국을 거쳐 귀환할 가능성도 있다. 미국 국방부는 1996~2005년 북한에서 수습한 유해의 신원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국군 전사자 유해 27구를 2012년과 2016년에 우리 측에 송환했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
  • 오마이걸 유아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