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조용호의 나마스테!] “지나온 발자국 돌아보니 예까지 혼자 온 것 같지는 않아요”

입력 : 2018-04-16 20:20:10 수정 : 2018-04-17 08:53:2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다섯 번째 시집 ‘옆 발자국’ 펴낸 조은 시인
“혼자 가는 것 같지는 않아요. 뭔지 모르지만 좋은 대상이 옆에 있는 것 같아요. 안 그러면 예까지 올 수 있었을까요? 그렇게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은, 감당할 수 있을 정도의 대상이나 관념이 옆에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저도 옆 발자국이 되어주지요. 이게 무슨 자만인지 모르지만, 못 산 거 같지는 않아요.”

‘지난 혹한의 날씨에/ 굶주린 어미 고양이가 새끼를 입에 물고/ 목숨을 걸고/ 그의 집에 들어왔다고 했다’. 그 새끼를 이사 갈 때 데리고 가지 못해 날마다 돌아와 찾으러 다니는 눈 위의 발자국이 시인의 눈에 밟혔다. 어느 날 ‘선명한 발자국을 따라가자/ 누가 막 놓고 간 물그릇에서/ 털장갑 같은 김이 오른다/ 작은 플라스틱 그릇엔/ 하트 별 보름달 모양의 사료’가 놓여 있었다. ‘거기서 작은 발자국은/ 맞은편에서 온 사람의 발자국과 만난다/ 둘은 나란히 간다’. 옆 발자국을 본 순간 시인은 그가 새끼 고양이를 찾았구나 확신했고, ‘발자국 옆 발자국’이라는 시로 썼다. 조은(58) 시인이 최근 펴낸 다섯 번째 시집 제목 ‘옆 발자국’(문학과지성사·사진) 사연이다.

시인은 서울 사직동에서 26년째 살고 있다. 부모로부터 독립한 뒤 처음 터를 잡은 사직동 언덕배기 작은 집에서 내내 살다가 재개발이 무산되면서 쫓겨나 지난해 11월 큰길가 아랫동네로 내려왔다. 그녀의 동반자였던 강아지 ‘또또’를 따라 골목골목은 물론 집들도 드나들어 뉘 집 방이 몇 개인지까지 환히 꿸 정도다. 그녀가 글 쓰는 사람이란 건 동네 사람들도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잘 몰랐다고 했다. 웬 낯선 사람이 시인의 집에 있는 것을 보고 동네 주민 하나가 불쑥 들어와 “미쓰 조, 누구야?”라고 물었다. 낯선 이가 그녀를 인터뷰하는 중이라고 하자 “미쓰 조가 무슨 글을 써?”라고 목소리를 높였다고 할 정도로 그동안 잘 숨어 살았다. 그녀가 글 쓰는 이라는 사실을 알았다면 무람없이 집을 드나들도록 주민들이 허락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했다.

‘친구가 내 집에다/ 어둠을 벗어두고 갔다/ 점등된 등불처럼/ 왔던 곳으로 되돌아갔다/ 어둠이 따라붙지 못한 몸이/ 가뿐히 언덕을 넘어갔다// 사는 게 지옥이었다던/ 그녀의 어둠이 내 눈앞에서/ 뒤척인다 몸을 일으킨다/ 긴 팔을 활짝 편다/ 어둠이 두 팔로 나를 안는다/ 나는 몸에 닿는 어둠의/ 갈비뼈를 느낀다/ 어둠의 심장은 늑골 아래에서/ 내 몸이 오그라들도록/ 힘차게 뛴다’

서울 사직동을 떠나지 않고 낮은 자리 생명들과 더불어 시를 써온 조은 시인. 그는 “정신적 경제적 남루함에서 힘을 받던 젊은 시절을 거쳐 그것들이 발목을 잡는 시간들을 지나왔다”면서 “아직도 물살이 만만치 않은 내 앞의 강에다 또 하나의 디딤돌을 놓는다”고 시인의 말에 썼다.
허정호 선임기자
‘흐린 날의 귀가’에서처럼 그녀의 사직동 방에는 많은 이들이 제 집처럼 드나들었다. 그 방에 오면 불면증인 이도 쉬 눈을 붙일 정도로 편안해하는 이들이 많았다. 시인은 정작 성장기부터 우울한 어둠 속에 있었다. 그녀에게는 ‘허리로 차오르는 어둠을/ 내려다보고 있는 나무들’이 보이고 ‘어둠의 지문 같은/ 그림자들’과 ‘무거운 삶의 뿌리까지/ 암흑까지’ 들어 올리는 어둠이 보인다. ‘어둠엔 삐죽삐죽한 가시가 돋아 있다/ 돌아누워도 돌아누워도 찔리고 긁힌다’. ‘그날의 어둠이 되밀려 온다/ 기억을 되살린 불빛이/ 조각조각 튀고/ 검은 빗물이 흐느끼며/ 젖은 치마 속 같은/ 그날의 길을 간다’. 명랑소녀였던 그녀는 집안사의 굴곡 속에서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우울증을 앓았다. 남들은 쏙쏙 성장할 시기에 거의 잠만 잤으니 생래적으로 어둠을 많이 보는 것 같다고 했다. 어둠이라고 어두운 것만은 아니다. ‘금테를 두른 어둠’도 있다.

“아직 남은 거 같기는 하지만 거의 홀로 극복했어요. 어둠이 완전히 부정적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제가 딛고 살아야 할 구체적인 영역이랄까, 저에게는 에너지 같은 것이기 때문에 믿어지지 않겠지만 제 어둠을 나름대로 사랑한답니다. 빛보다는 어둠에 모든 게 다 있는 거 같아요. 무엇을 꺼내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저는 역량이 부족해서 한 주먹밖에 못 꺼내는 거죠. 나이가 들어가면서 도저히 극복할 수 없는 어둠도 있다는 걸 체득하긴 합니다.”

4녀2남 집안에서 차별 없이 컸지만 낭만적인 아버지의 경제적 무능으로 섬약한 어머니의 고생을 보았다. 가여운 엄마가 자식들에게는 꼭 좋은 건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뒤늦게 들었다고 했다. 선하고 무르기만 해서 가족들을 고생시킨 아버지라는 남자상은 벽이었다. 아버지 유전자를 물려받은 것인지는 모르되 연민의 대상에 쉬 ‘넘어가버리는’ 그녀이지만, 아직까지 남자에게는 넘어가지 못했다.

아버지는 3년 전 평소 바람대로 벽 하나 넘어 남동생이 있었는데도 침대에서 내려와 바닥에서 두 손을 모으고 누워 조용히 이승을 떠났다. 그녀는 아버지가 ‘이별을 피했다’고 썼다. ‘그날은, 하루 종일 맑았다/ 느닷없이 마른하늘에 돌풍이 지나갈 때/ 그는 눈을 번쩍 뜨고/ 먼지 알갱이들이 황금빛으로 날고 있는/ 세상을 빤히 바라봤다/ 아슬아슬한 곳에서/ 가까스로 중심을 잡은 듯한 표정으로// 그는/ 강렬한 두 눈에 담긴 것을/ 시트 위에 내려놓았다/ 세상이 잿더미처럼 적막했다’. 원망했던 아버지와 이번 시집에서 시로 화해한 셈이다.

“타인의 삶, 특히 행복해 보이는 사람을 바라볼 때는 오래도록 그 행복이 정말 유지되면 좋겠다 싶은데 문득 생각하면 현실은 희한하잖아요. 저렇게 행복한 사람이 나중에 어려움을 겪으면 얼마나 힘들까 미리 안쓰러워지는 거예요. 제 부정적인 생각일지 모르지만, 티끌 하나 없이 완벽한 행복을 느끼며 걸어가는데 앞날이 반드시 그러지 않으리라는 건 예상할 수 있잖아요? 선한데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사람들을 보면 너무 힘들어요.”

그녀는 ‘아주 행복해 보이는 여자가/ 나를 스쳐 지나갔다/ 걱정 하나 없는 얼굴/ 꿈꾸는 눈빛으로/ 잠든 아기를 품에 안고// 여자는 턱을 조금 들고/ 태양을 안고/ 천천히 걸었다/ 우아하고 젊었다’고 ‘봄날의 눈사람’에 썼다. 따스한 봄날에 금방 녹아버릴 아슬아슬한 눈사람을 떠올리는 그녀는 일찍이 ‘벼랑에서 만나자. 부디 그곳에서 웃어주고 악수도 벼랑에서 목숨처럼 해다오. 그러면/ 나는 노루피를 짜서 네 입에 부어줄까 한다’고 첫 시집에 썼다. 시인은 여전히 그 벼랑 끝 ‘작두날 같은 경계’에 서 있다. 1988년 ‘세계의문학’으로 등단한 지 올해로 30년째이지만 아직까지 시로는 문학상 한 번 받은 적 없다. 동문도 없고 문단에 얼굴도 잘 내밀지 않은 이 사직동 ‘은자’는 벼랑 끝 경계야말로 사람의 본성이 가장 잘 보이는 영역이라고 했다.

“나는 오래/ 경계에서 살았다// 나는 가해자였고/ 피해자였고/ 살아간다고 믿었을 땐/ 죽어가고 있었고/ 죽었다고 느꼈을 땐/ 죽지도 못했다// 사막이었고 신기루였고/ 대못에 닿는 방전된 전류였다// 이명이 나를 숨쉬게 했다/ 환청이 나를 살렸다// 아직도/ 작두날 같은 경계에 있다”(‘빛에 닿은 어둠처럼’)

조용호 문학전문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