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권력이 어떻게 대학을 잠식했나… 100년의 대학사 성찰

입력 : 2018-02-10 03:00:00 수정 : 2018-02-09 19:46:35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김정인 지음/휴머니스트/1만9000원
대학과 권력/김정인 지음/휴머니스트/1만9000원


오늘날 대학의 골격은 일제강점기에 세워졌다. 1924년 조선총독부가 경성제대를 설립한 것이 시작이었다. 광복 이후 사립대학이 우후죽순 들어섰고, 1945년 49개였던 대학은 1953년 226개로 급증한다. 1965년 3.3%였던 대학 진학률은 2014년 70.9%로 크게 증가한다.

그렇다면 양적으로 성장한 대학이 질적으로도 성장을 이뤄냈을까. 신간 ‘대학과 권력’은 김정인 춘천교대 사회과교육과 교수가 근대 고등교육의 태동에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100년의 대학사를 돌아보며 우리 대학의 모습을 성찰한 책이다. 저자는 ‘권력’을 키워드로 ‘사학권력’ ‘국가권력’ ‘시장권력’이라는 3주체를 중심으로 대학사를 재구성한다.

사학이 급증하는 과정에서 이화여자전문학교의 김활란과 연희전문학교의 백낙준, 보성전문학교의 유진오 등 ‘사학 3인방’이 사학권력으로 자리 잡는다. 저자는 “이들이 미군정의 비호 아래 친일 논란이라는 장애물을 넘어 자신의 입지를 굳혀나갔다”며 “해방 이후 1950년대까지 사실상 사립대를 이끌며 정치권력·행정당국과 밀착해 대학권력으로 군림한 인물”이라고 평가한다. 이승만 정부는 재단이 부실해도 사립대를 인정하는 방임적인 태도를 보였다. 정부 지원을 받지 않는 사립대가 재정난을 벗어나는 방법은 등록금을 받는 것뿐이었다. 자연히 사립대는 정원 늘리기에 급급할 수밖에 없었다.

1960년대 박정희 정부가 들어서며 대학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동시에 재정을 지원하면서 대학을 길들여갔다. 국가권력의 개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이다. 대학들은 국가의 요구에 따라 이공계 인력과 수출 주도에 따른 상경계 인력 양성에 주력한다.

1980년대는 졸업정원제 도입, 사립대 지방분교 설립 승인, 개방대 설립 등의 영향으로 대학 교육 대중화 시대가 열렸다. 1975년 1만6100명이던 서울대 재학생은 1985년 3만명이 넘었다. 대학 진학은 이제 의무처럼 여겨지는 시대가 된 것이다. 1990년대는 ‘경쟁과 자율’이라는 시장 논리가 대학에도 깊게 침투하면서 시장권력의 영향이 커지기 시작했다.

저자는 우리 대학이 시대를 앞서가지 못하고 타율적인 개혁을 반복해 왔음을 지적하며 대학 개혁이 성공을 거두려면 대학 자율적으로, 자생적으로 이뤄져야 함을 강조한다. “대학 스스로 위기에서 탈출하고자 하는 주체와 동력이 없는 한 정부가 개혁에 나선들 그 한계가 분명하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높다. 오늘날 대학의 위기는 대학이 외풍에 밀려다니며 자기 방향성을 잃어버린 100년의 궤적이 낳은 결과이기 때문이다.”

권구성 기자 k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