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S 스토리] 창공에 펼친 ‘파일럿의 꿈’

관련이슈 S 스토리

입력 : 2017-10-28 11:00:00 수정 : 2019-10-28 17:18:3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국민조종사’ 전투기 비행 체험 / 서울공항 이륙한지 7분 만에 원주 상공 / 속도 높이자 좌석으로 빨려들어가는 듯 / 평창 상공서 동계올림픽 성공개최 기원 / 직접 조종간 잡고 배면비행 평생 못잊어 / 비행 1시간만에 복귀… 긴장 스르르 풀려

“크∼우웅.”

 

국산 경공격기 FA-50에 시동이 걸리자 주변의 모든 소리가 묻혔다. 순간 앞쪽 조종석에 앉은 주재훈(32·학사 120기) 대위의 음성이 헬멧 안의 교신 스피커를 통해 들려왔다.

 

“이제 곧 활주로로 이동합니다. 준비되셨죠?”

지난 21일 국민조종사로 선발된 세계일보 김선영 기자가 국산전투기 FA-50 비행체험을 하면서 엄지를 치켜들고 있다. 공군 제공

전투기를 타고 하늘을 날기 직전, 가슴이 요동쳤다. 지난 21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제6기 국민조종사’로 최종 선발된 4명은 국산항공기인 FA-50과 KT-1(훈련기)에 2명씩 나눠 타고 비행체험을 했다. 운좋게 국민조종사에 선발된 기자도 FA-50의 뒤편 조종석에 앉아 우리 영공을 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오전 8시 성남 서울공항 브리핑룸에서 국민조종사와 공군의 베테랑 조종사들이 처음 만나 임무를 점검했다.

 

서울공항을 이륙해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와 강릉 상공을 비행하고 돌아오는 동선이었다. 기자가 탄 FA-50의 조종간을 잡은 주 대위는 “오늘 날씨가 너무 좋다. 이런 날은 손에 꼽을 정도”라며 “우리 전투기 조종사들끼리는 스스로를 ‘하늘이 받아준 사람’이라고 부르는데, 국민조종사들도 하늘이 잘 받아주는 것 같다”고 긴장을 풀어줬다.

 

브리핑 후 차량을 타고 활주로로 향했다. FA-50과 KT-1이 출격준비를 마치고 기다리고 있었다. 비행 전 간단한 점검절차를 마치고 꿈에 그리던 전투기 조종석에 올랐다. 조종복에 여러 항공장구를 착용한 상태여서 전투기 조종석은 생각보다 비좁았다. 하지만 자동차처럼 좌석조절을 할 수 있어 불편할 정도는 아니었다. 모든 준비가 끝나고, 조종석 덮개(캐노피)가 닫혔다.

 

오전 9시55분 드디어 비행을 위해 FA-50이 활주로로 몸을 움직였다.

 

“자, 이제 이륙합니다. 마음의 준비를 하세요!”

 

내부 인터폰으로 주 대위가 신호를 줬다. “3, 2, 1, 고(go)∼.” 주 대위의 외침과 함께 활주로를 달리던 FA-50이 하늘을 향해 박차올랐다. 전투기가 엔진출력을 최대로 높여 속도를 내자 몸이 좌석 쪽으로 빨려들어가는 듯했다.

 

예전에 한 예능프로그램에서 개그맨 김국진씨가 F-16 전투기 탑승체험을 하면서 “전투기가 태양에 꽂히는 줄 알았다”고 한 말처럼, 순식간에 하늘로 날아오른 전투기의 속도에 압도당했다. 서울공항에서 날아오른 전투기가 영동고속도로 방향으로 기수를 돌리자 기체가 재빠르게 움직였다. 롤러코스터를 타는 듯한 짜릿함이 온몸으로 전해졌다.

 

하늘에서 내려다본 지상의 모습은 장관이었다.

 

이륙한 지 7분 만에 도달한 원주 상공에서는 험준한 산맥들 사이로 하얀 구름이 바다를 이루고 있었다. 강원도로 향하면서 산세는 점차 험해졌지만 곱게 물든 단풍으로 덮여 있어 절로 감탄을 자아냈다. 조종석의 투명한 캐노피 밖으로 보이는 풍경을 즐기는 사이 어느새 전투기는 강원도 평창에 다다랐다.

 

전투기는 최고 시속 900∼1000㎞의 속력으로 비행했다. 순간 ‘이런 속도에 익숙한 전투기 조종사들은 자동차 운전은 어떻게 할까’란 엉뚱한 의문이 일었다. 내부 인터폰을 통해 주 대위에게 묻자 “운전을 할 때 과속을 하지는 않는 편”이라면서도 “차가 막힐 때는 ‘아, 전투기 타면 금방 가는데’하는 생각을 자주 한다”고 웃었다.

 

FA-50과 KT-1은 강원도 평창의 알펜시아까지 편대비행을 하며 이동했다. 2018 평창올림픽을 112일 앞뒀던 이날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염원하는 의미에서 알펜시아 상공을 선회하며 항공촬영을 했다. 이후 KT-1 편대는 강원도 춘천 남이섬 쪽으로 향했다.

 

FA-50 2대는 강릉 상공에서 전투기 조종사들이 실제 훈련에서 연습하는 공중 전투·전술임무 기동을 실시했다. 비행 전, 주 대위가 몇 차례나 몸 상태가 괜찮은지 물었던 이유였다. “혹시라도 힘들면 바로 이야기를 해달라”는 주 대위의 당부에 “이왕 해보는 거 최대기동 한번 경험해보고 싶다”고 호기롭게 맞받았다. 하지만 이내 온몸으로 전해지는 중력을 견디느라 정신이 없었다.

 

중력을 측정하는 단위는 지구의 중력가속도로 일명 ‘G(gravity)’라고 부른다. 사람이 일상적인 생활을 할 때는 1G, 놀이공원 바이킹을 탈 때는 최고 2G 정도를 느낀다. 이날 기동훈련에서는 최대 7.1G까지 걸렸다. 몸무게가 75㎏인 기자는 520여㎏의 압박을 견뎌야 했던 셈이다. 또한 전투기가 기동을 하게 되면 중력가속도로 인해 조종사 머리에 있는 피가 아래로 쏠리게 되고 산소를 머금은 피가 뇌에 돌지 않아 순간 정신을 잃을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사전에 ‘윽! 크흐’ 소리를 내는 특수 호흡법을 연습하고 6G에서 20초를 견디는 훈련을 통과해야 했다.

일명 ‘곤돌라’로 불리는 가속도 내성 강화 훈련장비는 빠르게 회전하면서 중력가속도를 체험할 수 있게 해준다. 공군 제공
지난 9월 27일 국민조종사 후보자들이 충북 청주의 항공우주의료원에서 고공 저압 훈련을 받고 있다. 공군 제공

기동훈련 뒤에는 전투기의 조종간을 직접 잡았다. 평생에 다시 맞기 힘들 경험이었다. 2명의 조종석이 있는 복좌식 전투기인 FA-50은 앞좌석과 뒷좌석에 모두 조종간이 있다. 주 대위의 지시에 따라 조종간을 뒤쪽으로 당기자 전투기가 순식간에 180도 뒤집히며 일명 ‘배면비행’을 했다. 다시 전투기를 본래의 자세로 돌리고 나서는 ‘스로틀’을 당겨봤다. 자동차의 엑셀러레이터와 같은 스로틀을 앞으로 밀자 전투기의 속도가 붙기 시작했다. 그 상태에서 한번 더 밀어보라는 주 대위의 말에 따라 한번 더 스로틀을 전방으로 밀자 후기연소장치인 에프터버너가 작동하며 기체가 튕겨나가듯 급가속했다.

 

“오늘 전투 기동은 여기까지 하고, 이제 알투비(리턴 투 베이스·기지복귀)하겠습니다.”

 

헬멧 안으로 반가운 소리가 들렸다. 그제야 온몸에 긴장이 스르르 풀렸다. 비행은 1시간 정도 걸렸다. 서울공항에 무사히 착륙하자 기분 좋은 꿈을 꾼 것처럼 정신이 몽롱했다. 

제6기 국민조종사로 선발된 세계일보 김선영 기자와 소방공무원 조양현씨, 항공사 승무원 송혜진씨, 교직원 손승목씨(왼쪽부터). 공군 제공

서울공항으로 복귀하면서 주 대위는 “가끔 새들이 부러울 때가 있다”고 말했다. 무슨 의미일까.

 

“전투기조종사로 하늘을 날면서도 부족함을 느낄 때가 많아요. 본능적인 비행기술을 가진 새들처럼 조종기술이 자연스럽게 나올 수 있도록 늘 고민합니다.” 하늘이 삶의 터전인 새들의 비행까지도 닮고 싶어하는 ‘빨간 마후라’ 주 대위. 이런 파일럿들이 지키는 대한민국의 하늘은 빈 틈이 없었다.

 

김선영 기자 007@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