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평창, '올림픽의 저주' 끊어라]‘동계스포츠 메카’ 명성 무색… 특정종목 빼면 사실상 ‘불모지’

입력 : 2017-10-17 06:00:00 수정 : 2017-10-17 06:00:00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지역별 등록선수 전국 세번째/빙상·스키 등 선수 188명… 서울의 25%/초·중학교팀 15개… 부산·전북보다 적어/인기 없어 현지 티켓 판매도 ‘지지부진’/첨단 경기장도 “활용해야 보배” 한국에서 ‘동계스포츠의 메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곳이 강원도다. 전국 스키장 17개 중 절반이 넘는 9개가 강원도에 몰려 있고 추운 겨울 날씨 덕분에 동계스포츠를 즐기기 좋은 곳이라는 이미지가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강원도에서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것도 이런 배경 때문이다. 하지만 시설이 아닌 선수, 팀, 생활체육 규모를 놓고 보면 강원도는 동계스포츠의 메카 지위를 내놓아야 할 정도로 초라하다. 스키 등 특정 종목을 제외하면 동계스포츠의 저변이 미미해 사실상 ‘동계스포츠 불모지’라고 불러도 할 말이 없을 정도다.

◆초라한 강원도 동계스포츠 현주소

이는 동계스포츠 등록선수 현황만 봐도 여실히 드러난다. 대한체육회의 2017년 지역별 선수 등록 현황에 따르면 빙상, 스키, 봅슬레이스켈레톤, 루지, 바이애슬론, 아이스하키, 컬링 등 7개 종목에서 강원도의 초·중·고·대학부팀과 일반부 실업팀 선수는 남자 137명, 여자 51명 등 188명이다. 전국 17개 시도 중 세 번째로 많은 규모이긴 하지만 가장 등록선수가 많은 서울(714명)에 비해서는 매우 적은 수준이다.

지역 스포츠의 밑바탕을 이루는 유소년팀 숫자를 보면 더욱 초라해진다. 강원도 초·중학교 동계스포츠팀은 15개로 경기(47개), 서울(40개)은 물론 부산(19개), 전북(17개)보다도 뒤처진다. 특히 설상 종목에만 팀이 편중돼 스키, 바이애슬론을 제외한 초·중학교팀은 5개뿐이다. 그나마도 동계올림픽 여파로 최근 2년 새 늘어난 규모가 이 정도다. 동계스포츠의 메카라는 명성과는 달리 사실상 제대로 된 동계스포츠 저변이 확립이 안 된 셈이다.

이처럼 저변이 열악해 지역주민들 사이에 동계스포츠 인기는 높지 않은 편이다. 올해 2월 평창올림픽 테스트이벤트로 강릉에서 열린 국제빙상연맹(ISU) 스피드스케이팅 종목별 세계선수권대회는 입장권까지 무료배부했지만 4일 동안 관중이 2만명에 그쳤다. 개최지역에서조차 동계스포츠의 인기가 없다 보니 세계 정상급 선수들이 총출동한 세계선수권대회는 일부 한국 선수의 경기를 제외하고는 국내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는 동계올림픽 입장권 국내 판매 부진으로 고스란히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20일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까지 동계올림픽 종목별 입장권 판매량이 약 27만장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입장권 판매 목표량인 107만장의 25%에 불과하다. 그나마 이 중 17만장은 해외 판매분이라 국내 판매분은 10만장에 불과하다.

평창동계올림픽이 끝난 뒤 강원도에는 세계 수준의 동계스포츠 시설이 남지만 정작 이를 활용할 저변은 매우 부실하다. 지난해 11월 강릉아이스아레나에서 열린 전국 남녀 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 대회에서 참가자들이 경기를 펼치고 있다.
대한빙상경기연맹 제공
◆동계스포츠 저변 넓혀야 시설 활용 가능

문제는 올림픽 이후다. 대회 이후 경기장 등으로 사용된 최첨단 시설이 고스란히 남지만 지금처럼 취약한 동계스포츠 저변으로는 이를 활용할 지역의 동력이 턱없이 부족하다. 국가대표 훈련장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접근성 등의 문제로 실효성이 크게 떨어진다.

일단 강원도는 지역 실업팀 창단을 적극 유도해 이를 해소한다는 전략이다. 평창이 올림픽 유치에 성공한 2011년부터 ‘1시·군 1실업팀 창단’을 꾸준히 유도해 장애인 스포츠단 포함 실업팀 17개를 유치하는 성과를 거뒀다. 전국 동계스포츠단 28개 중 절반이 넘는 규모다. 올해 1월에는 강원도청에도 동계실업팀이 생겼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컬링믹스더블팀을 창단하고 빙상팀 등도 꾸렸다.

하지만 실업팀만으로 올림픽 시설을 제대로 활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좀 더 체계적인 지역 내 동계스포츠 육성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유소년 지원은 필수다. 강원도는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를 확정한 다음 해인 2012년 ‘동계스포츠 육성 지원 조례’를 제정해 각급 학교의 동계 종목 꿈나무를 본격 지원했지만 올해 46개 학교에 지원된 지원금은 7억6000만원에 불과하다. 무엇보다 동호회 등 생활체육의 확대가 절실하다.

유지곤 한국스포츠개발원 수석연구원은 “올림픽 이후 운영비용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하려면 좀 더 폭넓게 시설을 소화돼야 한다. 따라서 엘리트 스포츠뿐 아니라 동호회 등의 생활체육의 저변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여기에 국내외 우수 지도자 영입과 양성, 체계적인 전지훈련 프로그램 수립, 스포츠 의료 및 경기력 향상 지원 시설 등 지역 전체의 동계스포츠 수준 향상을 위한 인프라 확충도 요구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강원도가 동계스포츠 브랜드 가치를 높이면 결과적으로 지역 전체의 경제적 활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송낙훈 중부대 사회체육학과 교수는 “남해가 축구시설을 적극 유치해 전지훈련지로 자리매김하면서 지역경제가 큰 도움을 받는 등 스포츠를 매개로 지역경제 부가가치를 올린 사례가 많다”며 “좋은 스포츠 시설을 갖춰 놓으면 이를 이용하기 위해 지역을 찾는 사람이 돈을 쓰는 시너지 효과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송 교수는 이어 “다만 평창은 시설이 동계스포츠 중심이라 지역 수요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지역에서 먼저 동계스포츠 저변을 확대해 시설을 활용하고 지역을 홍보하는 방안을 찾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서필웅·안병수 기자 seose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