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살충제 달걀’ 소동, 축산 위생환경 살피는 계기 돼야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17-08-16 23:32:44 수정 : 2017-08-16 23:32:4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달걀에서 살충제가 검출된 농가가 불과 하루 만에 전국 7곳으로 늘었다. 시중에 유통 중인 친환경 무항생제 달걀 제품 두 개에서도 비펜트린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 이 가운데 나주 농장의 경우 달걀에서 검출된 비펜트린은 기준치(0.01㎎/㎏)의 21배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 산란계 농장 1239곳에 대한 전수조사가 오늘까지 계속되는 만큼 추가로 검출될 가능성이 있다. 살충제가 나온 농장을 포함한 245곳은 그나마 상대적으로 관리가 엄격한 대형 사육장이다.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관리가 취약한 중소농장에서 추가 검출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총리가 범정부적으로 종합 관리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전수조사 결과를 국민에게 소상히 알리고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해 달라”고 지시했다. 국민 불안이 증폭되고 있는 만큼 범정부 차원에서 비상대응에 나서야 한다. 당장 농가 실태조사와 살충제 달걀 유통 금지, 전량 폐기 등 발등의 불부터 끄는 것이 급하다. 근본 대책을 강구하는 일도 소홀히 해선 안 된다.

이번 사태로 정부의 관리감독과 대응 체계가 매우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소비자연맹이 지난 4월 개최한 ‘유통계란 농약관리방안 토론회’에서 드러난 61%의 양계농가가 진드기 농약을 사용했다는 조사 내용과 이에 따른 대책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전달했으나 한 귀로 흘렸다. 유럽 달걀 파동 발생 한 달 가까이 지난 10일 류영진 식약처장이 기자간담회에서 “국내산 달걀에서 살충제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으나 나흘 뒤 정부의 살충제 검출 발표로 뒤집어지고 말았다. 시중에 유통되는 달걀의 극히 일부만 조사하는 수박 겉핥기 식 검사에 의존한 결과다. 농약검사와 각종 인증제도를 포함한 관리감독체계를 전면 개편해야 한다.

사육환경 개선도 시급하다. 좁은 케이지(철제 우리)에 가둬 키우는 한 진드기 감염 등을 피할 수 없다. 이번 사태는 진드기를 막겠다고 닭에 농약을 뿌렸다가 달걀이 살충제에 오염되면서 일어났다. 밀집사육을 바꾸지 않는 한 진드기 발생과 살충제 소동은 재연될 수밖에 없다. 이번 사태를 동물복지와 축산 위생을 포함해 사육환경 전반을 살피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사육환경 개선은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AI) 발병을 줄이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건강하게 자란 동물이 인간의 건강에도 좋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