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설왕설래] “밥 한번 먹자!”는 말 한마디

관련이슈 설왕설래 ,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17-05-23 00:57:30 수정 : 2017-05-23 01:04:5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혼자 밥 먹지 마라’는 책이 있다. 미국 마케팅 컨설팅 전문가 키이스 페라지와 탈 라즈가 펴낸 인생 성공법에 관한 책이다. 내용은 이렇다. 산다는 것은 만남이며 네트워킹이다. 어울려 밥 먹는 것이 인간관계의 출발이다. 많은 이들과 밥을 같이 먹으며 주변을 사랑하는 사람들로 채우는 게 성공이라는 것이다. 누구와 함께 밥을 먹는다는 것은 허기를 채우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처음 만난 사람과 밥을 먹음으로써 어색한 분위기를 풀 수도 있고 소원했던 관계를 회복한다. 그래서 사회생활을 하는 이들이 많이 하는 말 중에 하나가 “밥 한번 먹자!”는 것이다.

노무현정부에서 정무수석을 지낸 유인태 전 의원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단 한 끼도 ‘혼밥’ 말라”는 조언을 했다. 문 대통령은 사람들과 막 어울리는 성격이 아닌 데다 민정수석 당시 혼밥을 많이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우려를 씻기라도 하듯 문 대통령의 파격적 ‘식사 정치’가 관심사다. 청와대 직원들과 구내식당에서 3000원짜리 점심을 먹고, 기자들과는 주말 등산 후 삼계탕을 즐겼다.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 참석 후엔 5·18 유공자가 운영하는 식당에서 8000원짜리 육회 비빔밥을 먹으며 유족들을 위로했다. 여야 원내대표를 청와대로 초청해선 상석이 없는 라운드 테이블에서 비빔밥을 나누며 국정 협조를 당부했다고 한다. 밥이 소통과 협치의 수단인 셈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자주 혼자 밥을 먹었다고 한다. 청와대에 근무했던 조리장은 “혼자 먹는 것을 좋아했다. 지방 출장이 있어도 식사는 혼자 하길 원했다”고 증언했다. 불통과 연결짓는 시각이 많다. 혼밥 대신에 각계각층 인사와 밥을 먹으며 소통했다면 비극적인 국정농단 사태는 일어나지 않았을지 모른다.

요즘 세 끼 모두 혼자 먹는 19~29세 청년층이 10명 중 한 명에 이른다고 한다. 혼밥은 ‘무기력세대’ ‘이생망’으로 대표되는 각박한 삶을 사는 청년들의 자화상이다. 새 정부에선 청년들이 가족 등 주변과 함께 밥 먹는 일이 많아져야 한다. ‘자발적 고립’이라는 이들도 있지만 혼밥은 외로움과 단절에 가깝다. 한 끼 밥을 ‘밥’으로만 봐선 안 된다.

박태해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