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현장에선] 청년투표율과 청년실업률

관련이슈 현장에선 ,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17-05-08 21:19:41 수정 : 2017-05-08 21:19:4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청년실업은 5·9 대선에서 가장 자주 등장한 단어 중 하나다. 대통령 탄핵으로 겨울에서 봄으로 옮겨온 이번 대선에서는 그 경향이 한층 도드라진다. 통상 4분기보다는 대학생 졸업과 취업 시즌으로 1분기 청년실업률이 높은데 최근에는 경기침체와 맞물려 더 악화하고 있다. 3월 청년실업률은 11.3%로 2개월 연속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1분기 전체로도 청년실업률은 10.8%로 고공행진이다. 민주화 이후 치러진 대선 직전의 청년실업률로만 보면 역대 최악의 수준이다. 뿔난 청년들의 ‘앵그리 보팅’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진 셈이다.

정치권은 이미 지난해 4·13 총선에서 사상 최악의 청년실업률이 선거판을 어떻게 뒤흔들 수 있는지를 뼈저리게 경험했다. 각당 대선 후보들이 청년 일자리 공약을 쏟아내는 데 열을 올리는 까닭이다.


이천종 경제부 기자
청년층은 그동안 한국 사회에서 비주류였다.

인구 구성면에서 베이비부머 1세대(1955∼1964년생)와 2세대(1965∼1974년생)에 크게 밀렸다. 이른바 ‘58년 개띠’와 ‘70년 개띠’의 수적 우위에 밀린 소수파였다. 경제적으로도 베이비부머들을 쫓아가기가 버겁기만 했다. 청년실업은 고스란히 20대 청춘들의 빈곤 심화로 이어지고 있다.

머릿수와 재력에서 밀리는데 선거에서는 투표율마저 형편없이 낮았다. 그러다 보니 대선 공약이나 정부의 주요 정책 결정 과정에서 청년층이 소외되는 일이 벌어져도 제어할 방법이 없었다. 부모 세대보다 화려한 스펙에도 더 가난한 청년 세대의 일자리 문제는 제도 개혁 없이는 요원하다.

민주사회에서 혁명이 아니라면 제도 개혁의 출발은 선거다. 기득권을 가진 자가 스스로 그 권력을 내려놓은 역사는 없다. 결국 없는 자들이 싸워서 쟁취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장미대선’은 청년 세대에게 축복일 수 있다. 치솟는 청년실업률에 대한 분노가 선연한 가운데 대선이 치러지는 만큼 청년층이 투표장으로 발길을 돌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조짐도 괜찮다. 지난 4~5일 치러진 사전투표에서는 유권자 4명 중 1명이 넘는 무려 1107만여명이 투표에 참여해 26.06%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지난해 4·13 총선(12.2%)과 2014년 6·4 지방선거(11.5%) 사전 투표율의 배를 넘었다. 청년층이 많이 나섰다는 얘기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지난달 조사한 ‘19대 대선 유권자 의식조사’ 결과에서도 19세부터 29세 이하 청년 유권자 84.2%가 적극적으로 투표하겠다고 밝혔다. 연령대별 적극적 투표층을 살펴보면 20대가 18.5%포인트 상승한 반면 50대는 2.6%포인트, 60대는 7.9%포인트가 낮아졌다.

프랑스의 25세 이하 청년층 실업률은 25%에 달한다. 프랑스 새 대통령에 중도신당 ‘앙마르슈’(전진)를 이끄는 39세의 정치신예 에마뉘엘 마크롱이 선출된 것도 청년층의 분노와 열망이 담긴 것이다.

18대 대선에서 1, 2위 후보는 3.53%포인트 차로 당락이 갈렸다. 108만표 정도 격차다. 지난 대선 2030세대는 400만표 이상을 포기했다. 이번 대선에서는 ‘청년실업률은 최고, 청년투표율은 최저’의 악순환을 끊어내야 한다. 그래야 청년들이 원하는 세상이 열리기 시작할 것이다.

이천종 경제부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
  • 오마이걸 유아 '완벽한 미모'